무게 2.4kg, 방사선 피폭량은 3분의 1 WHO·IAEA에서도 기술력 인정받아 인프라 부족한 재난 현장서 바로 활용
디지털 X선 전문기업 레메디(REMEDI)가 미국 항공우주국(NASA·나사) 글렌 연구센터의 우주 의료기술 개발 프로젝트 시험 대상 기업으로 선정됐다. 대학 연구소 창업에서 출발한 작은 벤처기업이 글로벌 대기업들과 나란히 기술력을 검증받으며 세계적 무대에서 주목받고 있다.
나사 글렌 연구센터는 달·화성 탐사 등 장기 유인 탐사 시대를 대비해 초소형 X선(mini X-ray) 장비 시험을 진행했다. 우주에서는 통신 지연과 귀환 제한 때문에 현장에서 곧바로 진단과 처치가 가능한 장비가 필수다.
연구센터는 우주비행사의 생명을 위협하는 우주복의 미세한 손상, 탐사용 로버 타이어 균열, 탐사 장비 구조 결함까지도 빠르게 파악하는 기술을 요구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전 세계 200여 종의 장비를 평가했다. 크기, 무게, 영상 품질, 사용 편의성, 안정성 등 요소를 종합 검증한 결과 최종 시험 기업으로 한국의 레메디, 미국의 ‘MinXray’, 일본의 ‘후지필름’ 세 곳을 선정했다.
━
크기·품질·편의성·안전성 종합 검증
앞서 레메디는 국제원자력기구(IAEA)·세계보건기구(WHO) 등 글로벌 기관에서도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지난 4 월 오스트리아 빈 IAEA 본부에서 열린 국제방사선과학기술응용 콘퍼런스(ICARST 2025)에서 나자트 목타르 IAEA 사무차장은 레메디의 소형 X선 ‘레멕스-KA6’를 살펴본 뒤 “딱 필요한 제품”이라며 “아프리카에 보낼 수 있는지 검토해 보라”고 말했다. 현장에서 바로 활용 가능한 제품이라는 점에서 저개발국 의료 환경에 최적이라는 평가였다.
레멕스-KA6는 결핵·폐렴 등 흉부 질환 진단을 돕는다. 중량은 2.4㎏으로 경량이면서 방사선 피폭량은 대형 장비의 3분의 1 수준으로 줄었다. 별도의 차폐(보호) 공간 없이 곧바로 촬영해도 된다. 의료 인프라가 부족한 아프리카·도서 산간 지역, 군 의료·재난 현장 등에서 폭넓게 활용될 수 있다.
WHO는 결핵 퇴치 프로젝트에서 레메디와 협력을 이어오고 있다. WHO 통계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전 세계 결핵 환자는 1060만 명, 사망자는 160만 명이다. 저개발국을 중심으로 결핵이 확산하면서 레메디 제품은 의료 시설이 열악한 지역의 환자들에게 필요한 장비로 자리 잡고 있다. 레메디의 제품은 50여 개국에 판매 중이며, 지난해 매출은 약 130억원으로 전년보다 두 배 가까이 성장했다.
레메디는 선진국 시장 공략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차세대 제품 ‘레멕스Xcam6’가 일본 후생노동성(PMDA)의 까다로운 의료기기 등록을 6개월 만에 완료하고 판매 준비에 들어갔다.
━
20년간 디지털 X선 연구개발
Xcam6는 기존 KA6에 리모컨 기능을 추가하고 저선량 고해상도 성능을 구현했다. 일본은 캐논 메디칼, 후지필름 등 글로벌 강자들이 포진한 시장이기에 레메디의 빠른 진입은 상징성이 크다. 레메디가 20여 년간 디지털 X선 연구개발에 집중해 온 기술력과 신뢰성을 동시에 입증한 것이란 평가가 나온다.
조봉호 레메디 대표는 “매출의 90% 이상이 해외에서 발생한다”며 “나사·WHO·IAEA 등 글로벌 무대에서 기술력을 검증한 만큼 앞으로도 다양한 의료 환경과 산업에 적합한 솔루션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