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서울 한강벨트에 2031년까지 19만8000가구 착공…"토허제 추가 지정은 없다"

중앙일보

2025.09.29 00:37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글자 크기 조절
기사 공유
오세훈 서울시장이 29일 서울 중구 시청 브리핑룸에서 서울시 주택공급 대책 기자설명회를 하고 있다. 뉴스1
서울시가 최근 마포ㆍ성동구로 번지는 아파트 ‘패닉 바잉’ 분위기에 대응해 주택 공급 대책을 29일 발표했다. 민간정비 사업의 인허가 기간을 줄여 2031년까지 31만 가구를 착공시킨다는 목표다. 이 중에서 인기가 많은 한강벨트 지역 물량이 19만8000가구(63.8%)에 달한다.

최근 정부가 발표한 9ㆍ7공급 대책은 공공 주도 공급인 것과 비교해 서울시는 민간 주도 정비사업을 더 활성화하겠다는 방침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신규 주택공급이 부족할 것이라는 전망이 계속 집값을 자극하고 있다”며 “서울시가 민간 정비사업 전 과정을 살핀 결과 병목현상으로 불려온 인허가 구간을 혁신해 사업 기간을 대폭 줄이겠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앞서 ‘신통기획 시즌1’을 통해 정비구역 지정부터 준공ㆍ입주까지 이르는 정비사업 기간을 통상 18.5년에서 13년으로 줄이겠다고 밝혔다. 이 중에서 사업시행ㆍ관리처분인가 및 이주에 이르는 인허가 기간을 1년 더 줄여 정비사업 기간을 총 12년으로 단축하겠다는 목표다. 이른바 ‘신통기획 시즌2’ 가동이다.

이를 위해 각종 절차를 폐지하거나 간소화한다. 통합심의 전 진행하던 환경영향평가 초안검토 회의를 생략해 2개월 이상 걸리는 심의 기간을 줄일 예정이다. 한국부동산원에서만 진행하던 관리처분 계획 타당성 검증을 SH공사에서도 처리해 진행 속도를 높이기로 했다. 이 밖에도 사소한 정비계획 변경사항은 구청장이 직접 인가하도록 도시정비조례도 개정할 방침이다.

29일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에서 바라본 한강변 아파트 단지. 뉴스1
서울시는 이를 통해 정비구역에 지정됐거나, 지정을 앞둔 정비사업 구역들이 6년 뒤인 2031년께 착공할 것으로 본다. 총 31만 가구다. 모아주택 등 소규모정비사업, 리모델링 물량까지 더하면 2031년까지 최대 39만 가구 이상 공급이 가능한 것으로 전망한다. 특히 강남3구와 마포ㆍ용산ㆍ성동구 등 한강벨트 지역에 착공물량의 63.8%(19만8000가구)가 집중돼 있다. 오 시장은 “이 정도 물량이 풀리면 실질적인 부동산 시장 안정화에 상당한 기여를 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서울의 주택공급 문제 해결의 핵심은 민간 중심의 정비사업, 특히 강남 3구를 비롯한 주요 지역에 충분한 주택을 공급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오 시장 “토지거래허가구역 추가 지정 계획 없다”

집값 안정화를 위한 공급 대책 외에 추가 규제 관련해서 선을 그었다. 오 시장은 “서울시는 토지거래허가구역을 추가로 지정할 계획은 없다”며 “다만 최근 정부 발표(9ㆍ7공급대책) 때 국토교통부가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권한을 갖는 내용이 포함돼 지속적인 협의 통해 상황을 예의주시하겠다”고 덧붙였다.



한은화([email protected])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