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오수진 기자 =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가 8일(현지시간) 1단계 휴전협정에 전격 합의했다.
2023년 10월 7일 하마스의 이스라엘 남부 급습을 발단으로 가자지구에서 전쟁이 이어진 지 2년만이다.
이에 따라 하마스에 억류된 이스라엘 생존 인질 20명과 이스라엘 내 팔레스타인 수감자 약 2천명이 맞교환될 전망이다. 이스라엘군도 단계적 철군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압박 속에 이뤄진 이번 휴전 합의는 이번이 세번째다. 2년간 이스라엘과 하마스 사이에 두 차례 휴전 합의가 있었지만 종전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파기됐다.
다음은 가자지구 전쟁 주요 일지.
◇ 2023년
▲ 10월 7일 = 하마스, 이스라엘 남부 기습 공격. 팔레스타인의 또 다른 무장세력 '이슬라믹지하드'(PIJ)도 가담. 이스라엘, 하마스 소탕 위한 '철검' 작전 개시.
▲ 10월 22일 = 가자지구에서 이스라엘과 하마스 사이 첫 지상 교전.
▲ 10월 27일 = 이스라엘군, 가자지구 지상작전 확대 공식 선언.
▲ 11월 2일 = 가자지구에 머물던 유일한 한국인 일가족 5명, 라파 국경 통해 이집트로 탈출.
▲ 11월 22일 = 이스라엘 내각, 하마스에 붙잡힌 인질 50명을 석방하고 4일간 교전 멈추는 휴전안 승인. 이후 연장 합의.
▲ 12월 1일 = 이스라엘이 하마스의 합의 파기 주장하며 교전 재개, 휴전 7일만에 종료. 휴전 기간 하마스는 인질 105명 석방,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수감자 250명 석방.
▲ 12월 5일 = 이스라엘군, 가자 남부 최대 도시 칸유니스에 지상군 진입.
▲ 12월 29일 = 남아프리카공화국, 국제사법재판소(ICJ)에 '제노사이드'(집단학살) 혐의로 이스라엘 제소.
◇ 2024년
▲ 2월 12일 = 이스라엘군, 가자지구 최남단 도시 라파 공격.
▲ 3월 25일 =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가자 휴전·인질 석방 요구 결의 첫 채택. 미국은 기권.
▲ 4월 13일 = 이란, 사상 첫 이스라엘 본토 타격. 탄도미사일·순항미사일·드론 등 320여기 발사.
▲ 5월 20일 = 국제형사재판소(ICC),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와 요아브 갈란트 국방장관 등 이스라엘 지도부와 이스마일 하니예, 야히야 신와르, 무함마드 데이프 등 하마스 지도부에 대한 체포영장 청구.
▲ 7월 31일 = 페제시키안 이란 대통령 취임식에 참석한 하마스 수장 하니예가 테헤란에서 피살.
▲ 8월 6일 = 하마스 새 수장(정치국장)에 신와르 선출.
▲ 9월 1일 = 이스라엘 주요 도시서 전쟁발발 이후 최대 규모 시위.
▲ 9월 17일 = 레바논서 헤즈볼라 통신수단 무선호출기(삐삐) 수천대 폭발.
▲ 9월 18일 = 헤즈볼라 무전기(워키토키) 동시다발 폭발.
▲ 9월 23일 = 이스라엘군, 레바논 헤즈볼라 겨냥 대규모 군사작전 '북쪽의 화살' 개시.
▲ 9월 27일 = 이스라엘, 레바논 베이루트 남부 다히예의 헤즈볼라 본부 공습. 헤즈볼라 수장 하산 나스랄라 등 다수 사망.
▲ 9월 30일 = 이스라엘, 레바논 남부서 지상전 개시.
▲ 10월 1일 = 이란, 하마스·헤즈볼라 수장 등 죽음에 보복으로 이스라엘에 탄도미사일 200기 발사.
▲ 10월 5일 = 선거 기간 분쟁 종식 촉구해온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대선에서 승리.
▲ 10월 16일 = 이스라엘군, 라파에서 신와르 사살.
▲ 11월 26일 = 이스라엘-헤즈볼라, 미국·프랑스 등 중재로 60일간 공습과 교전 중단하는 일시 휴전안에 합의.
▲ 11월 27일 = 오전 4시 기해 이스라엘-헤즈볼라 휴전 발효.
◇ 2025년
▲ 1월 15일 = 이스라엘-하마스, 2차 휴전 합의.
▲ 3월 18일 = 이스라엘, 휴전 연장 협상 교착되자 가자지구 공습 재개. 휴전 기간 하마스에 억류된 인질 38명 석방.
▲ 5월 17일 = 이스라엘 내각, 가자지구 점령 구상이 포함된 '기드온의 전차' 작전에 따른 공세 시작.
▲ 5월 27일 = 미국 단체 가자인도주의재단(GHF), 가자지구 구호품 전달 일원화하는 배급소 운영 시작. 이스라엘군이 배급소 인파에 경고사격해 수십명 사상.
▲ 6월 13일 = 이스라엘, 이란 나탄즈 핵시설 등 공습. 호세인 살라미 IRGC 총사령관, 핵과학자 모하마드 테헤란치 등 주요 인사 다수 사망.
▲ 6월 22일 = 미국, B-2 전략폭격기 등으로 이란 포르도·이스파한·나탄즈 핵시설에 '벙커버스터' BU-57 미사일 등 투하하며 분쟁 개입.
▲ 6월 24일 = 이스라엘·이란, 미국 요구로 '12일 전쟁' 마치고 휴전
▲ 8월 22일 = 통합식량안보단계(IPC), 가자지구에 식량위기 최고단계 '기근' 발생 선언.
▲ 9월 15일 = 이스라엘, 가자지구 최대 도시 가자시티 장악 위한 '기드온의 전차 Ⅱ' 작전 개시하고 지상군 전개.
▲ 9월 21일 = 캐나다·호주·영국·포르투갈, 팔레스타인 주권국가로 승인 선언하며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두 국가 해법' 촉구.
▲ 9월 29일 = 트럼프 대통령, '가자 분쟁 종식을 위한 포괄적 계획' 제시. 네타냐후 총리, 제안 수용.
▲ 9월 30일 = 가자지구 보건부, 전쟁 발발 이후 팔레스타인 측 6만6천97명 사망하고 16만8천536명 부상한 것으로 집계.
▲ 10월 6일 = 이집트 휴양 도시 샤름 엘 셰이크에서 이스라엘·하마스 협상 개시
▲ 10월 8일 = 이스라엘·하마스, 트럼프 대통령이 제시한 평화구상 1단계 합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