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美재무장관 "내가 연준 의장이라면 韓 이미 통화 스와프 가졌다"(종합)

연합뉴스

2025.10.15 12:25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글자 크기 조절
기사 공유
"대미 투자 이견 해소 확신…향후 10일 내로 무역협상 결과 예상" "12월에 차기 연준 의장 후보 서너명 트럼프 인터뷰 위해 추천"
美재무장관 "내가 연준 의장이라면 韓 이미 통화 스와프 가졌다"(종합)
"대미 투자 이견 해소 확신…향후 10일 내로 무역협상 결과 예상"
"12월에 차기 연준 의장 후보 서너명 트럼프 인터뷰 위해 추천"

(워싱턴=연합뉴스) 김동현 특파원 =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은 15일(현지시간) 한미 무역협상의 최대 쟁점인 3천500억달러(약 500조원) 대미 투자를 둘러싼 한국과의 이견을 해소하고 향후 10일 내로 협상을 마무리할 것으로 전망했다.
베선트 장관은 이날 워싱턴DC 재무부에서 개최한 기자간담회에서 '한국의 대미 투자 약속과 관련한 이견이 해소될 것으로 예상하냐'는 연합뉴스 특파원의 질문에 "난 이견들이 해소될 수 있다고 확신한다"고 답했다.
그는 "우리는 현재 대화하고 있으며, 난 향후 10일 내로 무엇인가를 예상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한국이 외환시장에 미칠 부정적인 영향을 우려해 미국에 요청한 무제한 통화 스와프를 제공할 의향이 있냐는 질문에 "재무부가 통화 스와프를 제공하지는 않으며, 그건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 소관"이라고 답했다.
이어 "내가 연준 의장은 아니지만 만약 내가 의장이라면 한국은 싱가포르처럼 이미 통화 스와프를 가지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베선트 장관의 이런 발언을 고려하면 그는 대규모 달러 유출이 한국의 외환시장에 미칠 영향을 완화할 조치가 필요하다는 한국 정부의 입장을 어느 정도는 이해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그는 통화 스와프의 사례로 싱가포르를 언급한 이유는 설명하지 않았다.
미국과 싱가포르는 코로나19 확산 시기인 2020년 3월 600억달러 규모의 통화 스와프를 체결한 바 있다.
베선트 장관은 한때 유력한 차기 연준 의장 후보로 꼽혔으나 본인이 재무부 장관을 계속하고 싶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현재는 차기 의장 후보 검증을 관장하고 있다.
그는 앞서 CNBC방송과 한 대담에서 내년 5월 임기가 끝나는 제롬 파월 현 연준 의장의 뒤를 이을 의장 후보를 11명에서 5명으로 좁혔다고 밝혔다.
그는 미 추수감사절(11월 27일) 이후 12월에 트럼프 대통령이 인터뷰할 수 있도록 의장 후보 서너명을 추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베선트 장관은 연방대법원이 상호관세를 무효화해도 행정부가 사용할 수 있는 다른 관세 부과 수단이 많다면서 "나라들이 (미국과의) 무역 합의를 철회하지는 않을 것이라 생각한다"고 밝혔다.
베선트 장관은 일본이 러시아산 액화천연가스(LNG) 수입을 줄여야 한다고 생각하냐는 질문에 "누구든 러시아산 에너지를 구매하면 우크라이나 국민에 대한 공격을 보조하는 것"이라고 답했다.
그는 일본 엔화가 너무 약세라고 평가하냐는 질문에는 "일본중앙은행이 적절한 통화정책을 따른다면 엔화가 자체적인 수준을 찾을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김동현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