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장세정의 뉴스터치] '여성' 대신 '평등'으로...성평등가족부 출범

중앙일보

2025.10.16 08:10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글자 크기 조절
기사 공유
성평등가족부 현판식이 원민경 장관(오른쪽)과 정구창 차관(사진 중앙 왼쪽)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지난 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진행됐다. [사진 성평등가족부]
정부조직법 개정에 따라 여성가족부가 '성평등가족부'로 새출발했다. 2001년 여성부로 출범(2005년 여성가족부로 개칭)한 지 24년 만에 부처 이름에서 '여성'을 떼어내고 '성평등'을 내세웠다. 이름의 변화는 우리 사회 성 인식이 달라졌다는 징표다. '보호'에서 '균형'으로 여성을 보는 초점이 이동한 셈이다.
이 부처는 출범 이후 여성 권리 신장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개발해왔다. 하지만 여성 권리 향상에 집중하는 사이 사회·경제적 현실 변화에 따라 남성이 역차별받는다는 불만이 터져 나오면서 폐지론이 나왔다. 실제 이명박 정부와 윤석열 정부에서 여성가족부 폐지 움직임이 있었고, 장관 자리가 한동안 공석인 적도 있었다. 이재명 대통령은 14일 국무회의에서 “우리 사회 전체적으로 여성에 대한 구조적 성차별이 광범위하게 존재하지만, 특정 영역에서는 예외적으로 남성들이 차별받는 부분이 있다”며 남성 역차별을 이례적으로 언급하기도 했다.
성평등가족부가 되면서 오히려 조직이 커졌다. 기존 ‘2실 2국 3관 1대변인 27과’ 체제는 ‘3실 6관 1대변인 30과’로 확대됐고, 정원도 277명에서 294명으로 17명 늘었다. 신설된 성평등정책실 아래에는 성평등정책관(옛 여성정책국), 고용평등정책관(신설), 안전인권정책관(옛 권익증진국)을 배치했다. 조직 확대가 능사는 아니겠지만, 부처 역할의 방향을 새로 잡으려는 시도만큼은 평가할 만하다. 성평등가족부의 영문 표기는 여성가족부 시절과 마찬가지로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다. '성평등' 개념은 원래부터 있었던 셈이다. 바뀐 이름답게 '갈등의 상징'에서 '조정의 상징'으로 자리 잡길 기대한다.



장세정([email protected])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