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장관과 함께 방미…"美 많은 양보할 거 같죠? 韓입장 반영해주길"
"한미협상, 가장 진지·건설적 분위기…원칙 어기는 협상 불가 기조유지"
김용범, 美의 '열흘내 어떤 결과' 언급에 "나쁘지 않은 사인"(종합)
산업장관과 함께 방미…"美 많은 양보할 거 같죠? 韓입장 반영해주길"
"한미협상, 가장 진지·건설적 분위기…원칙 어기는 협상 불가 기조유지"
(워싱턴=연합뉴스) 박성민 특파원 =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한미 무역협상과 관련, "지금까지와 비교해볼 때 양국이 가장 진지하고 건설적 분위기에서 협상하고 있는 시기"라고 말했다.
양국 간 협상 후속 논의를 위해 16일(현지시간) 워싱턴DC 인근 덜레스 국제공항을 통해 미국에 입국한 김 실장은 취재진과 만나 이같이 평가한 뒤 "국익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협상이 잘 마무리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김 실장은 이날 한미 협상 대표 역할을 맡고 있는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함께 입국했다.
김 실장은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이 전날 기자간담회에서 "난 향후 10일 내로 무엇인가를 예상한다"며 양국 간 무역협상 결과물이 곧 도출될 수 있음을 시사한 것에 대해 "미국이 많은 양보를 할 것 같죠. 그럼?"이라고 반문했다.
이어 "우리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계기 한미 정상회담이 매우 중요하다는 얘기를 했었고, 그런 기대를 하고 있다"고 했다.
김 실장은 특히 "미국이 그렇게 열흘 안에 어떤 결과가 있을 거라고 예상하는 것은, 미국 입장에서 우리와 협상하는 것을 중간 점검할 것인데, 우리에게 나쁘지 않은 사인으로 읽고 있다"며 "그만큼 미국이 좀더 유연하게 우리 입장을 최대한 반영해줬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김 실장은 이날 백악관 예산관리국(OMB)을 방문하는 것과 관련해 양국 협상이 문구 조정 작업에 들어갔다는 관측이 나오는 것에 대해 "그건 아니다"라고 답했다.
그러면서 "협상은 김정관 장관이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과 하는 것이고, OMB는 조선업도 그렇고, 다 중요한 부처들"이라며 "그래서 두루두루 만나서 우리 쪽 입장을 설명하는 그런 맥락이지 OMB가 협상을 직접 하는 건 아니다"라고 했다.
이러한 언급은 러셀 보트 OMB 국장과 만나는 것이 협상과 직접 관련이 있는 것은 아니며, 조선업을 OMB가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한미 조선업 협력 문제를 논의하는 자리임을 설명한 것으로 풀이된다.
김 실장은 또한 "김 장관이 러트닉 장관과 만나는 거고, 저는 옆에서 조력을 할 것이다. 협상은 그 단일 창구가 제일 중요하다"며 "베선트 장관도 러트닉 장관과 조율하면서 본인이 분위기를 읽는 것이지, 협상은 러트닉 장관과 김 장관 사이에 이뤄진다"고 말했다.
김 실장은 한국이 미국에 요구하는 통화스와프에 대해선 "우리나라 외환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우리가 문제를 제기했고, 미국이 이해했다 정도 외에 개별 프로그램이 어떻고 이런 건 말씀드리기 어렵다"고 밝혔다.
그는 통화스와프 체결 방안과 관련, "어떤 것은 그냥 아이디어 차원에서 나왔던 것, 어떤 것은 한때 제안됐지만 지금은 유효하지 않은 이야기 등 그런 보도가 많이 나오고 있다"며 "협상은 상대가 있고, 단계별로 어떤 주제가 떠오르다 다른 주제로 옮겨가기 때문에 개별적인 어떤 주제가 나와서 어떤 상태의 논의가 있는지는 말하기 어렵다"고 했다.
김 실장은 아울러 협상을 시간에 쫓겨서 원칙에 벗어나지 않겠다는 기존 입장이 현재도 유효한지를 묻자 "그렇다"고 답했다.
그는 이번 주말 안에 양국간 협상이 타결될 가능성에 대해선 "최선을 다하겠다"라고만 밝혔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박성민
저작권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