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모들은 자녀가 성인이 됐을 때 평균 키보다 5㎝가량 더 크길 바라며, 약 3분의 1은 자녀의 키 성장을 위해 보조제 등을 먹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정작 키 크는 데 가장 필수적인 수면·식사·운동 등의 생활습관은 갈수록 잘 지켜지지 않는 실정이다.
23일 대한소아내분비학회는 창립 30주년을 맞아 한국갤럽과 공동으로 진행한 ‘바른 성장 및 건강한 생활습관에 대한 사회적 인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만 5~18세 자녀를 둔 전국 부모 총 2012명을 대상으로 지난 6월 23일부터 7월 28일까지 조사한 결과다.
조사 결과, 학부모 10명 중 3명은 키를 키우기 위해 자녀에게 키 성장 보조제(28%)를 활용한 적이 있었다. 칼슘(33.9%)이나 비타민D(32.4%)를 먹여봤다는 응답률도 유사했다. 특히 만 5~6세 미취학 아동에서도 칼슘이나 비타민D 섭취해봤다는 비율이 약 40%로, 어린 나이부터 영양제를 복용하는 비율이 높았다.
그러나 키 성장 보조제의 실제 효과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75.7%가 ‘보통’ 혹은 ‘효과 없음’을 골라, 기대 만큼의 효과는 얻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외 자녀의 키 성장을 위한 노력으로는 한약 복용 17.3%, 키 성장 마사지 12.6%, 성장호르몬 주사 4.6% 등이었다.
성장에 대한 적극적인 노력의 배경에는 큰 키에 대한 선호가 반영된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가 성인이 됐을 때 이상적인 신장을 물은 결과, 아들은 평균 180.4㎝, 딸은 평균 166.7㎝까지 성장하길 바라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한국 성인 평균 신장보다 각각 약 5㎝ 이상 큰 수치다.
반면 키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기본적인 생활습관은 악화했다. 대표적으로 스마트폰 등의 전자기기 사용 시간이 늘었다. 초등학생의 경우 하루(주중 기준) 2시간 이상 전자기기를 사용하는 비율이 43.5%에 달했다. 이는 10년 전인 2016년 조사(20.4%)보다 약 2배 증가한 것이다.
미취학 아동 중에도 31.6%가 주중 전자기기 사용 시간이 1시간 이상 2시간 미만이라고 응답했다. 자녀가 잠자기 직전까지 전자기기를 사용한다는 응답도 55.7%로 절반 이상이었다. 이해상 학회 홍보이사(아주대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는 “전자기기를 잠자기 직전까지 사용하는 것은 수면의 질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생활습관”이라고 말했다.
수면 부족 역시 심각했다. 자녀가 중·고등학생인 경우 하루 평균 수면시간이 ‘8시간 미만’이라는 응답이 80% 이상이었다. 더 어린 초등학생의 경우 36.3%, 미취학 아동 중에서도 26.3%가 하루 8시간 미만 자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수면학회가 제시하는 적정 수면시간은 ▶3~5세 10~13시간 ▶6~13세 9~11시간 ▶14~17세 8~10시간인데, 이에 못 미치게 자는 아이들이 상당수인 셈이다.
운동 부족과 식습관도 문제로 나타났다. 신체활동을 전혀 하지 않는 비율이 15.3%였고, 주 1~2회만 한다는 응답이 40%에 달했다. 식사의 경우 하루 세 끼 식사를 지키지 않는 비율이 19.6%였다. 특히 미취학 아동 중에서도 약 7.3%가 아침 식사를 하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소아내분비학회는 “아이들 성장에 가장 기본이 되는 수면·운동·식사를 건강하게 바꾸는 것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황일태 학회장(강동성심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은 “키를 키우겠다는 욕심으로 생활습관을 고치기보다는, 어찌 보면 가장 쉬운 방법인 영양제를 먹이는 것을 많이 택한다”며 “(영양제를) 정 먹이고 싶다면 종합비타민제 정도면 충분하며, 칼슘·철분·아연 등 여러 영양제를 불필요하게 과잉 섭취하는 것은 좋지 않다”고 말했다.
이영준 학회 부회장(고려대안암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은 “사회가 점점 키 성장을 미용적으로 바라보는 것 같다”며 “성장호르몬 주사나 건강기능식품 등을 많이 활용하는데, 의학적 근거가 없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 수면과 운동, 식사를 통해 아이들이 기본적으로 건강하게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