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지하주차장 살던 남자 극단선택…건물주는 이혼한 전처였다

중앙일보

2025.10.24 14:00 2025.10.24 14:39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글자 크기 조절
기사 공유
그들은 왜 쓸쓸한 결말을 맞았을까요. 유품정리사 김새별 작가가 삶과 죽음에 대해 묻습니다. 중앙일보 유료구독 서비스 더중앙플러스가 ‘ 어느 유품정리사의 기록’(https://www.joongang.co.kr/plus/series/130)을 소개합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구독 후 보실 수 있습니다.

내게 걸려오는 대부분의 전화는 ‘부고’다.
애도를 담든 안 담든 누군가의 ‘죽음’이 담긴 전화를 받는 게 나의 일이다.
그게 일이지만 벨소리에 어떠한 기대감도 없다.
다만 아직도 움찔할 따름이다.

가끔은 ‘단골(?) 고객’의 전화를 받는다.
원룸의 건물주라든가, 고독사 관련 단체다.
처음 일을 맡을 때 여러 번 통화를 해야 하니 저장해 놓은 번호로 몇 년 뒤 다시 전화가 걸려오는 것이다.
이럴 때 전화 응대가 난감하다.

반갑습니다?
‘그게 반가울 일이겠나.’

오랜만입니다. 잘 지내셨어요?
‘잘 지내면 내게 또 전화를 걸겠나.’

예전에도 비슷한 이야기를 한 적이 있지만, 늘 그런 묘한 느낌이다.
이번에도 같은 번호였다.

“대표님, 예전에 무료청소 도움을 받았던 사람이에요.
혹시 이번에도 좀 도와주실 수 있을까요?”
그집에서 또 세입자가 고독사로 죽어나갔다.

“오갈 데 없는 불쌍한 사람이라 받았어요.
딱해서 지하주차장 쪽을 좀 고쳐서 쓰라고 내줬거든요….”

“좋은 일을 하셨는데 안타깝게 됐네요.”

무료 특수청소를 해드릴 때가 있다.
내 유튜브에 그런 현장에 대한 영상을 올리다 보면 까칠한 댓글들도 달린다.
‘건물주면 돈도 많을 텐데 왜 무료로 지원을 해주는 거죠?’

일일이 설명을 할 수 없는 노릇이다 보니 가끔 속이 답답하다.
내가 늘 강조하는 것이 있다.
‘고독사는 가해자는 없고, 피해자만 여럿인 사고 현장’
…이라는 것이다.

세를 내준 집주인도,
같은 건물에 사는 이웃들도,
쓸쓸히 죽음을 맞이해야 했던 고인도,
그 누구하나 가해자는 아니지 않은가.

하지만 어쨌든 특수청소는 필요하다.
적게는 수십에서 많게는 수백만원까지 든다.
유족에게조차 버림받은 시신을 건물주라고 해서 감당해야 할까.
월세를 떼여 보증금도 얼마 안 남은 경우도 많다.
아니 재산유무를 떠나 집주인도 똑같이 피해자일 뿐이다.

다만, 요즘엔 고독사 수습을 지원하는 후원금이 예전 같지 않았다.
다시 또 도움을 부탁하는 의뢰인에게 사정을 설명했다.

“지난번처럼 도움을 드리기는 어렵겠어요.
유품 처리 비용만 조금 추가해서 최대한 해볼게요.”

집주인은 그것만으로도 무척 감사하다고 했다.
한결 밝아진 목소리로 통화를 마무리했다.

건물주는 다른 지역에 살고 있었다.
고인은 연고가 없는 사람이었단다.
워낙 형편이 어려운 것이 눈에 밟혀 노숙을 하느니 지하주차장이라도 쓰라고 내줬다고 했다.
고인이 건축 관련 일을 했던 모양이다.
지하에 뚝닥뚝닥 기둥을 세우고 가벽을 치더니 어떻게든 거주공간을 만들었다고 한다. 무허가 불법이긴 하지만 말이다.

현장은 예전에 작업한 곳이라 알고 있었다.
집주인은 직접 오지 못하고 지하주차장 공간을 전화로 설명해줬다.
말이 주차장이지 실제 차를 대는 세입자는 없는 것 같았다.

지하에서 썩은 시신.
냄새가 지독했다.

그러나 지하에 판잣집처럼 얼기설기 대충 문짝만 만들어뒀을 거란 예상과 달리 고인이 살던 공간은 냄새를 제외하곤 놀랄 만큼 깔끔했다.
‘솜씨가 보통이 아닌데?’
두꺼운 샌드위치 판넬을 대서 지었고, 제대로 세를 줘도 멀쩡해 보일 주거공간이었다. 크기도 원룸 이상이었다.
또 이상한 건 판넬로 벽을 만들고 현관을 낸 ‘불법 원룸’ 외에 주차장 나머지 공간에도 이런저런 물건들이 많이 쌓여 있었다. 쓰레기나 폐기물을 버려 둔 게 아니었다.

무언가 이상하다는 생각에 다시 한 번 전화로 물었다.

“음…, 형편이 어려운 분이라고 하셨죠?
그런데 이것저것 쓸 만한 짐이 많네요…?”
“네, 집안만 청소해 주시면 다른 건 제가 다 처리하려고요.”
“네, 그러셔야 할 것 같아요.”

주차장 공간의 3분의 2 정도는 창고로 사용한 것이다.
수많은 짐들이 빼곡했다.
둘러보는 와중에 한쪽 구석 의자 위에 고양이가 앉아 있었다.
낯선 사람이 들어왔는데도 놀란 기색 하나 없다.
자리를 틀고 앉아 눈을 껌뻑거리며 나를 쳐다볼 뿐이었다.

이지우 디자이너
“고양이가 있네요? 고인께서 키우신 건가. 도망도 안 가고 얌전해서. 어쩌죠?”
“길고양이인데 밥을 챙겨주니 눌러앉았나 보더라고요.”
“아, 네. 잘 아시네요?”
“네, 뭐….”

나는 별 생각없이 물어봤는데 집주인이 뭔가 켕기는 기색으로 전화를 끊었다.

(계속)

"오갈 데 없는 불쌍한 사람"에게 지하주차장 한편을 내줬다는 착한 집주인. 그 여인의 정체를 얼마못가 알게 되었다.

죽은 남자의 공간에서 발견된 서류 뭉텅이.
지하주차장이지만 집주인과 맺은 계약서, 또 하나는 협의이혼 약정서. 두 서류가 같은 이름이었다.

건물주가 말한 "불쌍한 사람"은 전남편이었다. 심지어 그녀는 '무료로' 청소를 부탁했다. 그녀가 끝까지 감추려 했던 진실은 무엇이었을까. 아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73644

‘어느 유품정리사의 기록’ 또 다른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 명문대 아들, 원룸서 죽자…매일밤 계단서 구더기 주운 아빠
노인의 아들은 마흔이 넘어 아버지의 원룸에서 홀로 죽었다. 아버진 아들을 잃고 매일밤 계단에 쪼그려 앉아 맨손으로 구더기를 치웠다. 속죄인지, 형벌인지 알 수 없는 그 일을 스스로 끝없이 반복했다. 명문대 나온 아들이 15년간 매달린 꿈. 그리고 그 지옥에 함께 떨어진 아버지의 이야기, 아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60088

▶ 50대女 죽자 돈 뒤지러 왔다…“무연고 해주세요” 남동생 쇼크

50대 여성 세입자가 숨졌다. 유품 정리 중 나온 수첩 첫 장에는 ‘남동생’의 전화번호와 주소가 적혀 있었다. 하늘 아래 유일한 피붙이였다. 누나의 소식을 들은 남동생은 가장 먼저 달려왔다. 그리고 서랍이란 서랍은 다 뒤졌다. 그는 청소비를 제외한 보증금을 받고는 한마디를 남겼다. "시신은 무연고로 처리해주세요"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69192

▶ “주차 중 이벤트 발생했습니다” 청년의 자살, 블박 영상 속엔…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75461

▶ 14층 노인 죽자 “엘베 쓰지마”…이웃 농성에 스카이차 불렀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67350

▶ “사람 죽은 집, 못 좀 빼줘요” 미신 씐 집주인의 섬뜩한 의뢰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44430

김새별([email protected])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