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황 레오 14세가 방한하는 행사인 ‘2027 세계청년대회(WYD)’의 하이라이트인 폐막 행사 장소로 서울 올림픽 공원과 여의도 한강 시민공원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
27일 천주교 서울대교구는 서울 서초구 가톨릭대 성의교정 옴니버스파크 컨벤션홀에서 가진 언론 브리핑에서 2027년 7월 29일부터 8월 8일까지 10박 11일간 열리는 WYD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서울대교구 정순택 대주교는 “전임 프란치스코 교황께서 2027 세계청년대회의 주제 성구를 ‘용기를 내어라. 나는 세상을 이겼다’(요한복음 16장33절)로 정하셨다”며 “이는 2000년 전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건네신 말씀이다. 또한 오늘을 살아가는 청년들에게 주는 메시지이기도 하다. 기후 위기와 세계적 불평등, 정신적 단절과 고립 속에서 방황하는 청년들에게 주님께서는 용기를 내라고 말씀하신다. 2027 세계청년대회는 이 말씀을 품고 전 세계 청년들에게 희망의 불을 밝히는 대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서 정 대주교는 “이번 대회에서 다섯 가지를 추구한다. 첫째 희망과 용기를 전하는 대회, 둘째 보편적 인류애를 나누는 대회, 셋째 한국 문화를 세계와 나누는 대회, 넷째 종교 간 화합과 사회적 연대를 구현하는 대회, 다섯째는 투명하고 신뢰받는 대회”라고 강조했다.
세계청년대회는 요한 바오로 2세 교황이 재위 중이던 1985년 ‘세계 젊은이의 날’을 제정한 것을 기념해 이듬해부터 열렸다. 1회는 1986년 이탈리아 로마에서 30만 명이 참가한 가운데 열렸다.
세계청년대회가 서울에서 열리면 40만 명의 해외 청년들이 한국을 찾을 전망이다. 대회 참가 인원은 약 70만~100만 명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른 생산 유발 효과는 2조~3조 원에 달하며, 고용 유발 효과는 1만1000~1만6000명이다. 1995년 필리핀 마닐라에서 개최된 데 이어 아시아에서는 한국이 두 번째 개최국이 된다.
2027 세계청년대회 조직위원회 총괄 코디네이터를 맡은 이경상 주교는 “WYD는 한 마디로 교황의 행사이자 전 세계 청년들을 위한 글로벌 축제”라며 “가능하면 북한 청년들도 초대하고, 북한 이탈 청년들도 초대해 교황님께서 만날 것을 기대하고 있다. 세계청년대회 역사상 최초로 분단 국가에서 개최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 주교는 또 “혹시 불교에서 윤허해 주신다면 해외 청년들을 대상으로 템플스테이도 진행해 보고 싶다. 해외 청년들에게 K-푸드를 알리는 기회로도 삼고 싶다”고 덧붙였다.
기획사무국장 이영재 신부는 “모든 행사는 무료로 등록할 수 있으며, 가톨릭 신자가 아니어도 모든 청년이 참가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