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머리 벗겨지고 뱃살 볼록…"25년뒤 인류 이렇게 변한다" 충격 경고

중앙일보

2025.11.02 23:37 2025.11.02 23:41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글자 크기 조절
기사 공유
인공지능(AI)으로 탄생한 2050년의 현대인 ‘샘’. 사진 위워드 홈페이지 캡처
인공지능(AI)이 예측한 25년 뒤 인류의 모습이 공개됐다. 복부비만과 피부 노화 등 현대인의 생활 방식을 유지할 경우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신체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뉴욕포스트에 따르면 지난달 31일(현지시간) 미국 걸음 수 추적 앱 ‘위워드(WeWard)’는 “지금처럼 앉아서만 사는 생활을 계속하면 2050년 우리의 모습은 어떻게 변할까”라는 주제로 인공지능 모델을 제작했다.

해당 모델은 세계보건기구(WHO)와 미 질병통제예방센터(CDC) 등의 관련 자료를 수집해 챗GPT에 입력해 생성됐다.

위워드는 AI가 예측한 인물을 ‘샘(Sam)’이라 명명하며 “운동 부족이 신체 외형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의학적으로 시각화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공개된 샘의 모습은 오랜 좌식 생활로 인해 열량 소모가 적고 신진대사가 느려져 배에 지방이 쌓여 복부 비만인 모습이다. 장시간 앉아 구부정한 자세로 스마트폰을 사용했기 때문에 허리는 굽고 머리는 앞으로 기울어졌으며 상체는 굽은 거북목이다. 안구는 충혈됐다.

엉덩이와 무릎 등 다른 관절도 뻣뻣한 데다 혈액순환이 안 되면서 발목과 발은 퉁퉁 부어있다. 또 좌식 생활로 인해 발생한 피로와 혈액순환 악화, 영양 불균형으로 모발은 가늘어져 탈모가 발생했고 혈관 건강도 악화해 피부는 탄력을 잃고 색소가 침착된 모습이다.

위워드는 “WHO 조사에 따르면 청소년의 80%가 권장 신체활동량을 채우지 못하고 있다”며 “음식 주문, 회의, 친구와의 대화까지 모두 소파 위에서 가능해졌고 SNS에서 콘텐트를 접하며 보내는 시간까지 합치면 우리는 대부분의 시간을 화면 앞에 앉아 보낸다”고 지적했다.

이어 “신체 활동 부족은 심장병, 뇌졸중, 당뇨, 암, 치매의 발병 위험 증가 등 건강 문제와 직접적으로 관련돼 있고 수면과 근육·뼈 발달, 우울과 불안에 이르기까지 일상적인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번 프로젝트는 단순히 공포를 자극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현대인이 얼마나 움직이지 않는지를 경고하기 위한 시도”라며 “움직이지 않는다면 우리 모두는 ‘샘’처럼 변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장구슬([email protected])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