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노무현 직함’이 뭐길래…광주교육감 후보들, “여론조사 보이콧” vs “내로남불의 극치”

중앙일보

2025.11.02 23:47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글자 크기 조절
기사 공유
광주광역시교육감 예비후보들. 왼쪽부터 이정선 광주교육감, 김용태 전 전교조 광주지부장, 오경미 전 광주시교육청 교육국장, 정성홍 전 전교조 광주지부장. [뉴시스]
내년 치러질 광주광역시교육감 선거에 출마 의사를 밝힌 예비후보들의 ‘여론조사 직함’을 놓고 논란을 빚고 있다. 한 후보가 여론조사용 직함에 노무현 전 대통령의 이름이 들어간 재단 경력을 사용한 것을 두고 경쟁 후보들이 “노무현 직함이 사용된 여론조사는 참여하지 않겠다”고 보이콧을 선언했기 때문이다.

김용태 전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광주지부장은 3일 “저의 ‘노무현재단 광주지역위원회 시민학교장’ 경력은 법적으로 문제가 없고, 내년 광주교육감 선거에서 정당하게 사용할 수 있다”며 “경력사용을 문제 삼아 여론조사를 보이콧하는 것은 상식적으로 납득하기 어렵다”고 주장했다.

앞서 김 전 지부장은 지난 6월부터 진행된 다수의 여론조사에서 ‘노무현 직함’을 사용했다. 이후 그의 소개 이력에 따라 각종 여론조사에서 1위와 최하위를 오가자 상대 후보들 사이에서 공정성 논란이 제기됐다.

정치 신인인 김 전 지부장은 지난 6월 여론조사에서 21.5%의 지지율로 1위를 하는 등 ‘노무현 직함’을 사용한 다수의 여론조사에서 1~2위를 기록했다. 그는 이정선 현 광주시교육감, 오경미 전 광주시교육청 교육국장, 정성홍 전 전교조 광주지부장 등과 차기 광주시교육감 자리를 놓고 경합 중이다.

하지만 그는 두 달 뒤인 지난 8월 ‘노무현 직함’을 제외한 여론조사에서는 4위(6.7%)까지 하락하는 등 직함 사용 전후의 지지율이 최대 14.8%p까지 격차를 보였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www.nesdc.go.kr) 참조.
김용태 전 전교조 광주지부장.

이를 놓고 상대 후보들은 “노무현 직함을 사용하는 것은 교육을 정치화하고 조사 결과를 왜곡하는 심각한 문제”라며 지난 9월 여론조사를 거부했다. 특히 광주 지역은 민주당 지지 성향이 강한 탓에 특정 후보만 노무현 전 대통령을 사용할 경우 형평성이 맞지 않는다는 것도 반대 이유 중 하나였다.

이에 대해 김 전 지부장은 “언론사 여론조사를 방해하는 것은 시민의 투명한 정보 접근권을 부당하게 제한하는 행위”라며 “역대 전국 어디에서도 시·도 교육감 선거에서 경쟁 후보의 정당한 경력을 여론조사에서 사용하지 못하게 한 사례는 찾아볼 수 없다”며 여론조사 보이콧 중단을 요구했다.

그는 최교진 교육부 장관과 이정선 광주시교육감의 과거 선거 직함을 놓고도 ‘노무현 직함’이 문제가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최 장관은 세종교육감 출마 당시 여론조사에서 ‘노무현재단 대전충남지역위원회 공동대표’를 사용했고, 이 교육감은 2022년 지방선거 공보에 김대중·노무현·문재인 전 대통령의 이름이 들어간 경력을 사용한 바 있다. 김 전 지부장은 “지난 지방선거 공보에 전 대통령들의 이름이 들어간 경력을 사용했던 이 교육감이 현재 여론조사 보이콧을 한 것은 ‘내로남불’의 극치를 보여주는 행태”라고 말했다.

선관위는 ‘노무현 직함’은 정당 등을 상징하지 않기 때문에 선거법상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선관위 관계자는 “교육감 선거는 정당의 선거 관여 행위를 제한하고 있는 지방교육자치법도 적용되는데, 현재 논란이 일고 있는 직함은 재단의 명칭이 전 대통령의 이름이 들어갈 뿐이라서 교육자치법 위반으로 보기 어렵다”고 말했다.



황희규([email protected])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