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의 한 지역에서 철물점을 운영하는 신모(56)씨는 지난해 8월 자신을 군인이라고 밝힌 김모 대위로부터 전화 한 통을 받았다. “진지구축 훈련에 사용할 곡괭이 수백 자루가 필요하다”는 내용이었다.
김 대위는 신씨에게 “행정보급관이 도시락 구매를 누락해 훈련이 어려운 상황이다. 전투식량값을 대신 내주면 곡괭이 대금을 결제할 때 한꺼번에 정산하겠다”고 제안했다. 이어 신씨에게 부대 물품 공급 결제 확약서, 국방부 지출결의서도 보냈다.
김 대위를 신뢰하게 된 신씨는 그가 알려준 전투식량업체에 전화를 걸어 전투식량 구매 비용 1440만원(120상자, 상자당 12만원)을 송금했다. 이후 신씨는 김 대위와 연락이 끊어졌고, 전투식량 업체도 전화를 받지 않아 경찰에 신고했다.
캄보디아에 거점을 두고 군부대, 정당, 대통령 경호처 등을 사칭해 ‘노쇼’ 또는 대리 구매 사기를 벌인 일당이 경찰에 무더기로 붙잡혔다. 강원경찰청은 특정경제범죄법상 사기 및 범죄단체 가입과 활동 등의 혐의로 국내외 조직원 114명을 붙잡아 이 가운데 18명을 구속했다고 3일 밝혔다.
━
전국적으로 피해 신고만 590건
강원청은 전국에서 노쇼, 대리 구매 사기 피해가 급증하자 경찰청으로부터 노쇼 집중 수사관서로 지정받았다. 전국에서 넘겨받은 사건만 560건, 피해액은 69억원에 달한다.
군 간부 사칭이 402건으로 가장 많았고, 정당과 대통령 경호처 사칭이 158건으로 뒤를 이었다. 피해액은 군 사칭 63억9400만원, 정당과 경호처 사칭 5억60만원 등이다.
노쇼 사기는 피싱 조직원이 정당·군부대 관계자를 사칭해 단체회식·도시락·숙박업체 등을 예약한 뒤 특정 업체의 물품을 대리 구매해달라고 요청한다. 여기에 속은 피해자가 업체에 돈을 보내면 조직원·업체가 잠적하는 방식으로 범행이 이뤄진다.
예컨대 군인이라고 밝힌 김 대위부터 전투식량 공급업체까지 모두가 한통속인 셈이다. 피해자에게 보낸 서류도 모두 위조된 서류라고 경찰 관계자는 설명했다.
━
경찰, 조직 총책 등 17명 추적 중
경찰은 캄보디아 시아누크빌 소재 범죄단지 콜센터를 특정, 인터폴 등과 협력해 지난 5월 24일 현지 콜센터를 급습했다. 현지 경찰에 체포된 피의자는 모두 15명. 이 가운데 3명만이 국내로 송환됐다. 국내에서 자금세탁책 등으로 활동한 111명도 붙잡았다.
이 중 국내 총책 3명, 콜센터 1명, 관리 총책 1명, 관리책 4명, 자금 세탁책 9명 등 18명이 구속됐다. 경찰 조사 결과 이번에 검거된 이들은 모두 같은 조직 소속으로 납치·감금 피해를 당한 이들은 없었다. 현재 경찰은 아직 검거하지 못한 조직 총책 등 17명을 추적하고 있다.
국내 조직폭력단체와도 연관된 이들은 텔레그램을 통해 조직원을 모집한 뒤 군 간부와 정당을 사칭해 노쇼 사기를 벌이는 콜센터, 가상의 대리구매 물품 판매점 콜센터 등을 운영했다. 범죄 수익금은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에서 해외 가상자산 거래소로 송금하는 수법을 사용했다.
최현석 강원경찰청장은 “국제 공조를 통해 해외 콜센터는 물론 이와 연결된 국내 조직까지 척결하는데 수사력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