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싸움 경기를 둘러싸고 ‘민속 문화’라는 주장과 ‘동물 학대’라는 주장이 대립하는 가운데 지난 5일 청도군 소싸움 대회가 개막했다. 동물보호단체의 반발 속에서도 전국 11개 지자체 중 7곳이 올해 예정대로 대회를 열었다.
6일 오전 10시30분 경북 청도군 청도소싸움경기장. 전국 유일의 돔 형태인 소싸움 경기장에서는 ‘2025년 청도군 전국 민속 소싸움 대회’ 예선 경기가 한창이었다. 751~800㎏ ‘대한강’급 중에서도 유력한 우승 후보인 풍산(의령)과 챔투(창원)가 토너먼트로 진행되는 예선 첫 경기부터 붙게 되면서 객석에서는 긴장감이 감돌았다.
힘이 좋은 챔투가 경기 초반 뿔을 거세게 들이밀며 풍산을 밀어붙였다. 풍산은 자세를 한껏 낮추며 버티기에 돌입했다. 경기 시간이 10분을 넘어가자 관중석에서는 박수가 쏟아졌다. 경기는 힘이 빠진 챔투가 돌연 돌아서면서 풍산의 승리로 돌아갔다.
대구에서 온 60대 부부는 “1년 전 온천에 왔다가 소싸움 경기를 보게 된 이후로 매주 상설 경기를 보러 온다”며 “응원하는 소가 출전해 경기하는 모습을 보러 왔다”고 말했다. 청도에 거주하는 노부부는 “소싸움 경기가 청도 경제에 많은 도움이 되기 때문에 관람객이 많이 왔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청도군이 주최하는 소싸움 대회는 오는 9일까지 진행된다. 전국 각지에서 모인 싸움소 196두가 출전해 치열한 승부를 펼친다. 총 상금은 1억1000만 원이다. 당초 청도군은 동물 학대 논란 때문에 대회 예산을 편성하지 않기로 했다가 지난 6월 추경에서 2억9000만원을 되살렸다. 청도군 관계자는 “전통 문화인 소싸움 대회가 지역 경제에 미치는 효과 등을 우선적으로 감안했다”고 말했다.
충북 보은군도 대추축제가 열린 지난달 17일부터 닷새 동안 소싸움 대회를 개최했다. 보은군은 소싸움 대회가 안전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김은숙 보은군 축산과장은 “뿔로 들이받는 경우가 드물고, 한번 맞대보고 힘이 달리는 쪽에서 내빼기 때문에 부상 위험이 의외로 적다”고 말했다.
소싸움 대회는 지역경제 활성화에 보탬이 된다는 게 이들 지자체의 주장이다. 지난해 보은군 소싸움 대회의 경우 관람객이 1만2000여 명에 이르고, 대회 기간 축협매장의 한우 판매량이 2.7t에 달했다. 청도군은 매주 토·일 상설경기를 운영하는데 민속경기로 분류되기 때문에 경마처럼 합법적인 베팅도 할 수 있다. 지난해 39만명이 넘게 경기장을 찾았으며, 매출액은 2011년 개장 이후 두 번째로 많은 304억원에 달했다.
반면 동물보호단체들의 반발은 거세지고 있다. 동물학대 소싸움 폐지 전국행동은 최근 청도군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동물의 고통을 담보로 한 소싸움은 더 이상 전통문화가 아니라 명백한 학대”라고 주장했다. 지난 7월 소싸움 전면 금지를 요구하는 국회 전자청원에는 5만명 이상이 동의하기도 했다.
찬반 논란 속에서 소싸움 대회는 사라져가는 분위기다. 소싸움 대회는 농림축산식품부 고시에 따라 전국 11개 지자체만 개최해왔다. 이중 경남 김해시·함안군, 전북 정읍시·완주군 등 4곳은 올해 대회를 열지 않았다. 지난 4월 대회를 개최했던 대구 달성군도 내년도 대회 예산은 편성하지 않았다. 함안군 관계자는 “대회를 열지 말라는 민원이 거세지면서 논의 끝에 중단하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소싸움을 민속 고유문화로 계승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대한민속소힘겨루기협회 관계자는 “스페인의 투우처럼 소를 죽이는 것과 달리 소싸움은 힘을 겨루고 달아나면 경기가 종료되므로 동물학대가 아니다”며 “민속놀이인 소싸움은 우리 후손에게 물려줄 가치가 충분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