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울산 남구 울산화력발전소 내 구조물(보일러타워) 붕괴 사고와 관련해 중앙사고수습본부를 구성하며 대응에 나섰다. 고용노동부는 압수수색 등 강제수사를 통해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여부를 규명할 계획이다.
6일 한국동서발전 등에 따르면 이날 오후 2시쯤 동서발전 울산발전본부가 운영하는 울산화력발전소 내 기력 5호기 보일러 건물이 철거 작업 중 붕괴됐다. 이 사고로 9명이 매몰됐는데 오후 5시 기준 2명이 구조됐고, 현재 매몰자 2명을 발견해 구조 작업이 진행 중이다. 나머지 매몰자 5명에 대한 수색작업도 진행되고 있다.
동서발전 측은 “울산기력 보일러 5호기 해체공사 발파 전 사전 취약화 작업을 하던 중 무너졌다”고 밝혔다. 취약화 작업은 발파를 통한 철거 때 시설이 쉽게 무너지게 하기 위해 기둥을 비롯한 구조물을 미리 잘라두는 작업이다.
이날 사고가 발생한 울산기력 4ㆍ5ㆍ6호기는 1200㎿(메가와트)급 설비용량을 갖췄던 국내 최대 중유발전소다. 1980년 준공 후 41년간 운영되다 2022년 2월 퇴역했다. 1980년대 초에는 국내 총 전력 생산량의 15%를 생산하기도 했다. 기력 발전은 벙커C유로 생산한 스팀으로 터빈을 가동해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이다.
HJ중공업이 24년 1월 해체 공사를 수주해 내년 5월을 목표로 해체 작업을 진행해왔다. 해체 공사 계약 금액은 575억원이다. 동서발전은 기력 4ㆍ5ㆍ6호기를 해체한 후 기존 부지에 친환경 전력 공급을 위한 1000㎿ 규모의 한국형 복합발전소와 국내 기술 기반의 400㎿ 규모 수소 혼소 복합발전소를 건설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정부도 이날 중앙사고수습본부를 구성하는 등 총력 대응에 나섰다. 정부 조직개편으로 동서발전 등 발전 공기업을 산하 기관으로 두게 된 기후에너지환경부는 이날 김성환 장관을 본부장으로 한 중앙사고수습본부를 구성했다. 기후부는 산업재해 담당인 고용노동부 등과 함께 사고 수습을 지원할 계획이다. 김 장관은 이날 발전사 등 유사 작업 현장에 대한 긴급 안전점검을 지시했다.
노동부도 사고 원인 규명을 위해 압수수색 등 강제수사를 적극 추진해 산업안전보건법이나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여부에 대해 신속 수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김영훈 노동부 장관은 “재해자 구조 작업 후 사고 발생 원인을 철저히 규명하라”고 지시했다. 김 장관은 사고 상황을 보고받은 후 산업안전보건본부장 등과 함께 현장으로 즉시 이동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