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시론] 지방대를 ‘제2의 사회 진입 플랫폼’으로

중앙일보

2025.11.06 07:20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글자 크기 조절
기사 공유
구자억 서경대 혁신부총장
한국에서 지방대학 문제는 구조적으로 풀기 어려운 숙제가 된 것 같다. 학령인구의 급속한 감소, 수도권 대학 쏠림 심화, 지방 소멸 위기 등이 겹치면서 전국의 수많은 지방대학이 정원을 채우지 못한 채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동안 정부는 재정 지원 확대, 특성화 전략 추진, 외국인 유학생 유치 등으로 지방대학을 살리려 했지만 뚜렷한 반전의 계기를 만들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이제는 새로운 질문을 던져야 할 때가 됐다. 대학이 왜 20대 청년만을 위한 교육기관이어야 하는가. 우리는 오랫동안 대학을 10대 후반~20대 초반을 위한 학습 공간으로만 인식해왔다. 그러나 급격한 변화를 겪으며 이제 한국 사회가 많이 달라졌다. 한국사회는 이미 초고령사회로 진입했고, 한국인의 기대수명은 83.5세로 세계 5위다.

청년과 중장년의 투 트랙 교육
인생 2막 학위 과정 도입하고
세대 융합형 통합 교육도 필요

60세 전후에 퇴직한 수많은 고학력 중장년은 여전히 건강하고, 재취업 의지도 강하다. 문제는 그들이 다시 사회로 진입할 수 있는 관문이 거의 없다는 것이다. 바로 여기에서 지방대학을 ‘제2의 사회 진입 플랫폼’으로 다시 정의할 필요가 있다. 즉, 퇴직자와 중장년층이 제2의 직업 세계로 들어갈 수 있도록 돕는 전환 교육의 중심거점으로 대학의 역할을 전환하는 것이 필요하다. 지역에 밀착한 지방대학은 중장년층을 위한 재교육, 경력 전환, 자격 연계 프로그램 운영에 아주 적합한 구조를 이미 갖고 있다.

해외에서는 이미 이런 전환이 현실이 되고 있다. 특히 미국에서 그런 움직임이 활발하다. 존스홉킨스대학은 학습을 원하는 이들에게 배우는 즐거움을 제공하고 있다. 애리조나주립대학 미라벨라(Mirabella)는 학습과 함께하는 주거형 대학 모델을 구축하고 있다. 메사추세츠 애머스트대학은 고령자 중심의 열린 학위 과정을 운영 중이다.

지금 한국에서는 중장년층의 커리어 전환을 위한 정규 학위 과정이 특히 필요하다. 퇴직 후에 경력 전환을 원하는 사람에게 새로운 학위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 방안을 생각해보자. 첫째, 지방대학 운영의 틀을 20대 청년 대상과 퇴직자 및 고령층 대상의 투 트랙으로 전환한다. 퇴직자나 중장년층 수요를 흡수할 인생 2막 학위 과정을 도입해야 한다. 퇴직자들이 1~1.5년의 집중 교육을 통해 사회 각 분야에서 필요한 실무 역량을 갖추고 재취업에 성공할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한다. 이럴 경우 고령화로 인한 사회의 인력 손실 문제도 줄일 수 있다.

둘째, 학위 과정 외에 성인 친화형 교육 과정을 다양하게 개설한다. 퇴직자, 경력단절자, 고령층을 위한 단기 자격 과정, 마이크로 디그리, 6개월~1년 단위의 모듈형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 특히 실용·전환 교육에 집중한다. 은퇴 후 창업, 지역사회 활동, 디지털 문해력 등 제2의 커리어 설계를 돕는 실용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셋째, 대학이 지역과 결합한 서비스센터 역할을 해야 한다. 대학이 퇴직자와 고령자에게 진로 코칭과 멘토링을 제공하고 지역 주민과 고령층의 학습 기록, 관심사, 역량을 분석해 개인별 일·학습 연계 플랫폼을 구축한다. 넷째, 정부는 퇴직자나 고령층 교육에 대한 실질적 재정 지원 체계를 구축한다. 등록금 지원, 장학금 지급, 소득 연계형 후불제, 교육수당 지원 등 퇴직자의 학습과 생계를 병행할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

끝으로 세대 융합을 위한 통합 교육 모델 도입을 고려한다. 청년과 중장년 및 고령층이 하나의 교실에서 협력하며 배우는 것은 단순한 지식 습득을 넘는 의미가 있다. 예컨대 청년은 디지털 기술과 최신 트렌드를 공유하고, 고령층은 경험과 인생의 통찰을 전하며 서로에게 멘토가 될 수 있다. 이런 상호작용은 고립된 노년층 문제를 완화하고 청년 세대에게도 현실적 조언과 사회적 자본을 제공한다. 나이와 경력의 차이를 넘어 함께 배우고 성장하는 대학이야말로 미래 지방대학의 새로운 비전이 될 수 있다.

이제 지방대학은 단순히 젊은이들을 위한 학교가 아니라 퇴직자, 중장년층, 지역주민 모두가 새로운 삶을 설계하는 공간으로 탈바꿈할 때가 됐다. 대학의 패러다임을 바꿔 제2의 사회 진입 플랫폼으로 재정의해야 지방대학과 한국사회의 지속가능성이 커질 것이다.

※ 외부 필진 기고는 본지의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구자억 서경대 혁신부총장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