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10월 수출 소폭 감소…대미수출, 석달 연속 줄어
8월 트럼프 상호관세 부과 이후 감소세…휴대폰 수출 타격
(하노이=연합뉴스) 박진형 특파원 = 베트남의 지난달 수출이 소폭 줄어든 가운데 대미 수출이 석 달 연속 감소,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부과 영향이 나타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8일(현지시간) 베트남 통계청(GSO)에 따르면 지난달 베트남 수출은 420억5천만 달러(약 61조3천억원)로 전월보다 1.5% 줄었다.
전년 동기와 비교하면 17.5% 늘었지만, 블룸버그 통신이 집계한 시장 전망치인 19.5% 증가에는 못 미쳤다.
특히 대미 수출은 134억 달러(약 19조5천억원)로 2.2% 감소, 지난 8월부터 석 달 연속 줄었다. 또 지난 9월(-1.4%)보다 감소세가 가팔라졌다.
앞서 지난 8월 7일 트럼프 행정부는 베트남산 수입품에 대해 20%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했다.
분야별로는 미국 시장 의존도가 큰 휴대폰의 대미 수출이 15.2% 급감, 가장 큰 타격을 받았다. 베트남에서 미국으로 휴대폰을 가장 많이 수출하는 기업은 삼성전자다.
또 섬유·의류 대미 수출은 7% 줄었으나, 신발 대미 수출은 15% 증가했다.
이처럼 수출이 주춤하면서 10월 무역흑자는 약 26억 달러(약 3조7천900억원)로 전월(28억5천만 달러)보다 줄었다.
연초부터 10월까지 누적 무역흑자도 195억6천만 달러(약 28조5천억원)로 전년 동기(231억8천만 달러)보다 16% 감소했다.
또 같은 기간 주요 부품·소재 등 수입원인 중국에 대한 무역적자는 939억 달러(약 137조원)로 39% 늘었다.
한편, 베트남은 지난달 26일 트럼프 미 대통령의 말레이시아 방문을 계기로 미국과 관세 등 무역 협상의 큰 틀에 합의했다.
이에 따라 베트남은 거의 모든 미국산 상품에 대해 최혜국 대우를 제공하고 미국은 일부 선별된 베트남산 상품에 대해 무관세를 적용하기로 했다. 다만 세부 내용에 대해서는 수주 내로 협상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팜 부 탕 롱 호찌민시증권 수석이코노미스트는 "내년 수출 증가율은 한 자릿수, 아마도 7∼8% 정도로 둔화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이는 미국 관세의 전반적인 영향을 고려하면 수용 가능한 수준"이라고 블룸버그에 말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박진형
저작권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