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MVP 출신 슬러거 놓치면 모든 게 꼬인다...양키스의 오프시즌 플랜 키를 쥔 벨린저

OSEN

2025.11.11 02:27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글자 크기 조절
기사 공유
[사진] ⓒGettyimages(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사진] ⓒGettyimages(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재계약 불발 시 외야 전력·타선 밸런스 모두 흔들, ‘벨린저 변수’가 겨울 구상 좌우

[OSEN=손찬익 기자] 뉴욕 양키스의 오프시즌 플랜이 코디 벨린저에게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재계약을 맺는다면 이상적인 퍼즐이 완성되지만, 협상이 틀어질 경우 전력 보강 구상 전체가 흔들릴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 유력 매체 '뉴욕 포스트'는 11일(이하 한국 시간) “벨린저의 잔류 여부가 양키스의 겨울 전략을 좌우할 최대 변수”라며 그의 거취가 팀 운영의 중심 축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양키스가 그리는 오프시즌의 가장 간단하고 깔끔한 시나리오는 벨린저의 잔류였다. 그가 남는다면 추가 영입이 필요하더라도 복잡한 계산은 덜할 터였다. 그러나 만약 벨린저가 단 1년 만에 양키스를 떠난다면, 상황은 완전히 달라진다.

[사진] ⓒGettyimages(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사진] ⓒGettyimages(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벨린저는 단순히 외야 한 자리를 채우는 선수가 아니다. 트렌트 그리샴이 2,202만 5000달러(약 322억 4900만 원)의 퀄리파잉 오퍼를 거부하고 다른 팀으로 이적할 경우 그는 중견수로, 반대로 수락할 경우 좌익수로 나설 수 있다. 무엇보다 벨린저는 애런 저지 뒤를 받쳐줄 강력한 좌타 슬러거 옵션으로 타선의 무게감을 더해왔다.

그가 떠날 경우, 벤 라이스가 그 역할을 대신할 수는 있지만 애런 분 감독은 라이스를 주로 저지 앞 순서에 배치해왔다. 어떤 구성을 택하든 벨린저가 빠진 타선은 깊이를 잃는다.

‘뉴욕 포스트’ 존 헤이먼 기자는 벨린저의 새 계약 규모를 6년 1억8,000만 달러(약 2635억 2000만 원)로 전망했다. 만약 양키스가 이 금액에 합의하지 못한다면, 이번 FA 시장 최대어인 카일 터커 영입도 사실상 불가능하다. 터커는 저지의 3억6,000만 달러(5270억 4000만 원) 계약을 넘어서는 초대형 계약이 예상된다.

[사진] ⓒGettyimages(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사진] ⓒGettyimages(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결국 벨린저와 터커 외에는 시장에 즉시 전력감으로 분류될 외야 자원이 많지 않다. 그리샴이 오퍼를 수락하지 않으면 차선책이 되겠지만, 그 또한 불확실하다. 현실적으로는 한때 양키스에서 뛰었던 해리슨 베이더가 가장 현실적인 대안으로 꼽힌다.

베이더는 수비형 중견수지만 지난 시즌 미네소타와 필라델피아에서 146경기 타율 .277, OPS+ 117을 기록하며 커리어 최고 시즌을 보냈다. 다만 잦은 부상 이력이 걸림돌이다. 그 외 뉴욕 메츠의 세드릭 멀린스, 캔자스시티 로열스의 마이크 야스트렘스키 등도 시장에 나와 있지만 확실한 전력 업그레이드로 보긴 어렵다.

만약 FA 영입이 뜻대로 이뤄지지 않는다면 양키스는 젊은 피에 기회를 줄 수도 있다. 제이슨 도밍게스와 스펜서 존스가 그 주인공이다. 그러나 이는 성장통을 감수해야 하는 모험이다. 앤서니 볼피와 오스틴 웰스의 사례처럼 잠재력은 크지만, 즉시 전력감으로 보기엔 불안 요소가 많다.

[사진] ⓒGettyimages(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사진] ⓒGettyimages(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도밍게스의 포지션 변화 가능성은 낮다. 애런 분 감독은 “도밍게스는 좌익수로 고정할 계획”이라고 밝혔으며, 그는 도미니카 윈터리그에서도 좌익수로 뛸 예정이다. 이번 겨울 도밍게스는 우투 상대 타격을 개선하기 위해 우타석 중심 훈련을 이어가고 있다.

벨린저가 남을 경우, 양키스는 수비 포지션 운용에서 상당한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샴이 오퍼를 수락하면 벨린저는 좌익수나 1루수로 이동할 수도 있다. 결국 벨린저의 거취가 양키스 오프시즌의 모든 방향을 결정짓는 핵심 변수가 될 전망이다. /[email protected]


손찬익([email protected])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