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의 대장동 민간업자 사건 1심 재판 ‘항소 포기’ 사태가 정치권의 최대 쟁점으로 떠오른 가운데, 이재명 대통령의 지지율이 조사 업체와 기간에 따라 엇갈렸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 등 4개사가 지난 10~12일 전화 면접 조사 방식으로 실시한 전국지표조사(NBS)에서 이 대통령 지지율(국정운영 긍정평가)은 56%→61%로 2주 전보다 5%포인트 상승했다. 이 대통령 지지율이 60%대를 기록한 건 제1차 한·미 정상회담 직후였던 9월 첫째주 조사 이후 처음이다.
반면 한국갤럽의 지난 11~13일 전화 면접 조사에선 이 대통령 지지율이 59%로 일주일 전보다 4%포인트 낮아졌졌다. 한국갤럽은 “부정 평가 이유에서는 ‘도덕성 문제, 본인 재판 회피’ 지적이 2주째 가장 많은 가운데 ‘대장동 사건’ 언급이 새로이 포함됐다”며 “이는 이달 초 여당이 추진하려던 일명 ‘재판중지법’ 여진이 가시지 않은 상태에서 과거 대통령 관련 사건에 대한 검찰의 미항소 과정이 논란된 탓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처럼 여론조사마다 결과가 서로 엇갈리는 가운데, 세대별로는 60대 지지율의 등락폭이 눈에 띄었다. 최근 2주간 57%→63%→59%로 오르내렸던 한국갤럽 조사에서 60대 지지율은 43%→62%→51%로 더 크게 출렁였다. 상대적으로 보수 성향이 강한 20대 이하(45%→49%→51%)가 꾸준히 낮은 지지율을 기록하고, 상대적으로 진보 성향이 강한 40대(72%→77%→74%)와 50대(74%→72%→75%)가 꾸준히 높은 지지율을 보이는 것과 다른 양상이다. 이 대통령 지지율이 5%포인트 오른 NBS 조사에서도 60대 지지율이 48%→58%로 오른 영향이 컸다.
전문가들 사이에선 과거 ‘보수층’으로 분류됐던 60대가 이 대통령이 성과를 보이면 적극적으로 지지하는 지지율 버팀목이 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여론조사업체 메타보이스의 김봉신 부대표는 “이 대통령이 원자력 잠수함 추진이나 엔비디아 GPU 공급 같은 중도·보수 의제를 건드릴 때마다 60대의 긍정 여론이 확 뛰는 현상이 보인다”며 “60~70대는 국민의힘을 지지한다는 식의 공식은 깨졌다”고 했다.
과거 386세대로 불렸던 80년대 학번의 60대 인구 비중이 늘어난 결과라는 해석도 있다. 대학 시절 군사 독재를 경험한 이들 세대가 지난해 12·3 계엄 이후 여당 지지로 확 쏠리면서, 60대의 정치 여론 자체가 바뀌었다는 주장이다. 이준한 인천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연령이 늘어나면 정치적으로 보수화되는 생애 주기 효과(life-cycle effect)를 80년대 학번의 세대 효과가 밀어낸 결과로 볼 수 있다”면서도 “결국 이들을 움직이는 건 경제 문제인 만큼, 향후 주식 시장의 흐름이나 부동산 가격에 따라 지지율의 흐름이 결정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