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훈식 비서실장과 김용범 정책실장, 위성락 안보실장은 14일 오후 이재명 대통령의 유튜브 채널에 '케미폭발 대통령실 3실장'이란 제목으로 올라온 영상에서 한미 협상이 타결됐던 지난달 29일 경주 한미 정상회담 전후 상황을 소개했다.
이 영상은 한미 관세·안보 협상 결과를 담은 '조인트 팩트시트'(공동 설명자료)가 발표된 뒤에 공개됐다. 양국이 정상회담 이후에도 세부 협의를 이어왔던 점이 고려된 것으로 보인다.
관세 협상의 주무를 담당한 김 실장은 지난 8월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첫 한미 정상회담 이후 미국 측이 보내온 협상안에 대해 "기절초풍이라고 해야 할지, 진짜 말도 안 되는 안이었다"고 회상했다. 그러면서 "아, 올해가 을사년(乙巳年)이구나(라는 생각이 들었다)"라고 했다.
일본과의 불평등 조약인 '을사늑약'이 체결된 1905년도 을사년이었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시작부터 불평등 정도가 심했던 고난도 협상이었다는 취지로 풀이된다.
김 실장은 "완전 최악이었다"며 "미국 측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에) 오는데 우리와 입장이 안 좁혀지니 엄청 화를 냈고, 그런 것들이 우리에게도 전달됐다"고 당시 상황을 전했다.
이어 "적어도 감내가 가능한 안을 위해 끝까지 사투했고 강경하게 마지막까지 대치했다"며 "'더는 양보가 안 된다'는 우리의 선이 있었다"고 했다.
강 실장은 협상 타결 직전 상황에 대해 "긴장감이 극대화돼있었고 이견은 좁혀지지 않은 상태였다"며 "끝나고 긴장이 탁 풀렸다"고 말했다.
위 실장은 협상이 극적 타결된 배경에 대해 "주요 플레이어들이 마지막 순간에 입장을 재고하고 상대를 배려해 서로가 물러섰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결과적으로는 잘 됐다"며 "첫째로 대통령이 대처를 잘했고, 참모들도 지혜를 모아 대처 방안을 잘 궁리했다"고 평가했다.
강 실장은 그간 협상 준비 상황과 관련해 "(한미 간) 23차례나 장관급 회담이 있었다"고 언급했다.
그는 "정책·안보실장은 주로 진척이 있는 것에 대해 (내부) 설득을 하는 편이었고, 제가 제일 완강한 입장에 서 있었다"며 "더 완강한 건 대통령이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