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 위성인터넷 서비스명 '레오'로 변경…'스타링크' 정조준
저궤도 위성 150→3천200개로 확대 계획…"'저비용' 언급 홈피서 사라져"
(샌프란시스코=연합뉴스) 권영전 특파원 = 아마존이 위성 인터넷 서비스의 이름을 바꾸고 일론 머스크의 우주기업 스페이스X와 본격적인 경쟁을 예고했다.
16일(현지시간) 미국 정보기술(IT) 전문매체 테크크런치에 따르면 아마존은 그간 '프로젝트 카이퍼'(Project Kuiper)라는 코드명으로 불려 온 위성 인터넷 프로그램에 '레오'(Leo)라는 새 브랜드명을 붙였다.
레오는 위성 인터넷 서비스를 위해 쏘아 올리는 인공위성이 주로 지구 저궤도(Low Earth Orbit) 상에 위치한다는 데 착안한 이름이다.
아마존은 브랜드명 변경과 함께 회사의 사업 방향도 전환해 개인·기업 등을 상대로 한 상업적 경쟁에도 적극적으로 나설 것으로 보인다.
프로젝트 카이퍼 시절에는 인터넷 서비스가 제대로 공급되지 못하는 지역에 광대역 인터넷을 제공하겠다는 사회공헌 성격을 상대적으로 강조했지만, 레오로 브랜드명을 바꾼 이후에는 수익화에 좀 더 방점을 찍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2019년 이 프로젝트를 시작한 아마존은 현재까지 지구 저궤도에 인공위성 150여 기를 올려놓았으며, 이 가운데 절반 정도인 72기는 스페이스X의 로켓을 통해 발사됐다.
아마존은 향후 해당 궤도에 배치되는 위성을 3천200기 이상으로 늘려 레오의 적용 범위와 품질을 높이겠다는 방침이다.
이를 통해 현재 저궤도 위성 9천 기를 보유한 스페이스X의 스타링크와도 승부를 가르게 될 전망이다.
레오는 후발주자이지만 기업형 대형 단말 기준으로 최대 인터넷 속도가 1Gbps(초당 기가비트)로, 스타링크가 현재 제공하는 수백Mbps(초당 메가비트)보다 높다는 장점이 있다.
실제로 미국의 저가항공사 제트블루는 지난 9월 스타링크 대신 아마존과 계약을 체결해 승객들에게 기내 무료 와이파이를 선보이기 시작했고, 에어버스 등도 아마존과 위성 인터넷 계약을 맺었다.
테크크런치는 다만 브랜드 개편 과정에서 아마존이 홈페이지에서 위성 인터넷을 저비용으로 제공하겠다고 밝혀온 내용을 조용히 삭제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권영전
저작권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