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위 유혈진압 지시' 하시나 전 방글라 총리 사형선고(종합)
1천400명 사망 초래…실각 뒤 인도 도피 중 궐석재판
(하노이=연합뉴스) 박진형 특파원 = 지난해 대학생 반정부 시위로 실각해 인도로 도피한 셰이크 하시나 전 방글라데시 총리가 자국에서 열린 재판에서 시위 유혈 진압을 지시한 혐의가 인정돼 사형 판결을 받았다.
17일(현지시간) AFP·로이터 통신 등에 따르면 방글라데시 다카 법원은 이날 하시나 전 총리에 대한 궐석 재판에서 반(反)인도적 범죄로 사형을 선고했다.
재판부는 하시나 전 총리의 살해 지시, 유혈 진압 조장, 잔혹행위 방치 등 "3가지 혐의가 유죄로 판명됐다"면서 "반인도적 범죄를 구성하는 모든 요소가 충족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는 그에게 단 하나의 형량, 즉 사형을 선고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사형 판결이 나오자 법정을 메운 청중 사이에서는 환호와 박수가 터져 나왔다.
하시나 전 총리는 지난해 7월 독립유공자 후손 공직할당에 반대하는 대학생 시위를 무력 진압하도록 지시, 유엔 추산 최대 1천400명이 숨지게 한 혐의를 받았다.
그는 유혈 진압에도 시위가 잦아들지 않자 지난해 8월 총리직에서 물러나 인도로 달아났으며, 이후 집단살해 방지 실패·조장 등 5개 반인도적 범죄 혐의로 기소돼 검찰로부터 사형을 구형받았다.
재판 과정에서 검찰은 법원에 작년 7∼8월 하시나 전 총리가 학생 시위를 진압하기 위해 살상용 무력을 사용하도록 직접 지시했다는 증거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하시나 전 총리는 혐의를 전면 부인하며 인도에 계속 머물고 있지만, 이번 판결로 방글라데시 과도정부는 하시나 전 총리를 자국으로 송환하라고 인도를 압박할 수 있게 됐다.
인도와 방글라데시는 범죄인 인도 조약을 체결한 상태이며, 방글라데시 과도정부는 작년에 송환을 공식 요청했지만 인도는 이에 응답하지 않았다.
역시 해외 도피한 아사두자만 칸 전 내무부 장관도 이날 반인도적 범죄 4가지 혐의에 대해 유죄가 인정돼 사형 선고를 받았다.
판결 이후 하시나 전 총리는 성명을 내고 자신에 대한 판결이 "편향됐고 정치적 동기에 따른 것"이라고 밝혔다.
또 "내게 내려진 판결은 민주적 권한이 없는 비선출 정부가 만들고 주재하는 조작된 재판소에서 내려진 것"이라고 주장했다.
하시나 전 총리 측은 이번 판결에 대해 대법원에 상고할 수 있다.
하지만 하시나 전 총리의 아들인 사지브 와제드는 판결 전날 로이터에 아와미연맹 참여하는 민주적으로 선출된 정부가 들어서기 전에는 상고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내년 2월 초로 예정된 총선에 출마가 금지된 하시나 전 총리의 옛 여당 아와미연맹(AL)은 이번 판결을 앞두고 재판에 항의하면서 전국적인 파업·업무 중단을 촉구해왔다.
이런 가운데 최근 며칠 동안 전국에서 최소 30건의 조잡한 폭발물 폭발과 26대의 차량 방화가 발생하는 등 긴장이 높아졌다.
이에 과도정부 당국은 다카와 전국 곳곳에 경찰 등 치안 병력을 증원 배치하는 등 보안을 강화했다.
셰이크 무함마드 사자트 알리 다카 경찰청장은 폭발물을 던지거나 차량에 불을 지르려고 하는 이는 현장에서 즉시 사살하라고 지시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박진형
저작권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