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도심에서 경련 증세를 보인 고등학생이 구급차에 실린 채 소아과 진료가 가능한 병원을 찾지 못해 결국 사망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소아·청소년 전문 진료 인력 부족이 심각한 공백을 초래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18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지난달 20일 오전 6시17분, 부산의 한 고등학교 인근에서 한 학생이 경련을 일으키는 모습을 시민이 발견해 119에 신고했다. 소방당국은 16분 뒤인 오전 6시33분 현장에 도착했으며, 당시 학생은 의식이 흐릿했지만 이름을 부르면 반응할 정도의 상태였던 것으로 전해졌다.
문제는 이송 병원 확보였다. 구급대원이 부산 지역 대형 병원 4곳에 연락했지만 모두 소아신경과 배후 진료가 어렵다는 이유로 환자 수용을 거부했다. 이후 구급상황관리센터가 직접 나서 총 8곳에 추가로 연락했지만 결과는 같았다. 부산에서 진료가 불가능하자 창원 등 경남 지역 병원까지 수소문했으나 이마저도 받아주는 곳을 찾지 못했다.
그 사이 구급차 안에서는 1시간에 가까운 시간이 흘렀고, 결국 학생은 심정지 상태에 빠졌다. 심정지 환자의 경우 가장 가까운 병원은 의무적으로 수용해야 하므로 구급차는 오전 7시30분께 근처 병원으로 향했다. 5분 만에 도착했지만 학생은 이미 숨진 뒤였다.
부산 한복판에서 소아과 진료 가능 병원을 찾아 헤매다 환자가 사망한 이번 사건은 지역 소아 의료 공백의 심각성을 여실히 드러냈다는 평가다.
부산소방재난본부 관계자는 “부산 내에서 병원을 찾을 수 없어 경남까지 범위를 넓혔지만 수용 가능한 곳이 없었다”며 “구급차는 병원을 찾기 위해 계속 이동할 수밖에 없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병원 현장에서 소아 배후 진료가 이뤄지지 않아 이송이 거절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