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일 갈등 속 양국 외교부 국장 베이징서 만나…中 "부적절 발언에 엄정 항의"
中, 日총리 '대만 유사시 개입' 언급 겨냥 "극히 악질적…中국민 공분 불러일으켜"
日, 中총영사 '참수' 극언 항의·대응 요구…'여행 자제령'에는 "日치안 안 나빠"
中, '日총리 발언 철회' 요구에 日 거부…'주머니 손 中' 영상도(종합2보)
중일 갈등 속 양국 외교부 국장 베이징서 만나…中 "부적절 발언에 엄정 항의"
中, 日총리 '대만 유사시 개입' 언급 겨냥 "극히 악질적…中국민 공분 불러일으켜"
日, 中총영사 '참수' 극언 항의·대응 요구…'여행 자제령'에는 "日치안 안 나빠"
(베이징·도쿄·서울=연합뉴스) 정성조 박상현 특파원 김현정 기자 =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의 '대만 유사시 개입' 시사 발언을 계기로 충돌 중인 중국과 일본이 18일 중국 베이징에서 대화 자리를 마련했으나 접점을 찾지 못했다.
류진쑹 중국 외교부 아주사 사장(아시아 국장)은 중국을 방문한 일본 외무성의 가나이 마사아키 아시아대양주국장과 이날 만남에서 다카이치 총리의 대만 관련 발언을 즉각 철회하라고 요구했으나, 일본은 이를 거부했다고 교도통신이 전했다.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을 통해 류 국장이 이날 협의에서 가나이 국장에게 다카이치 총리의 대중국 부적절 발언과 관련해 다시 한번 엄정하게 항의했다고 밝혔다.
마오 대변인에 따르면 류 국장은 이번 협의에서 "다카이치 총리의 발언이 국제법과 국제관계 기본 원칙을 심각하게 위반하고, 전후 국제 질서를 훼손하며, '하나의 중국' 원칙과 중일 4개 정치문서 정신을 심각하게 위배해 중일 관계의 정치적 기반을 근본적으로 훼손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이러한 발언의 성격과 영향은 극히 악질적이며, 중국 국민의 공분과 규탄을 불러일으켰다"면서 "중국은 일본 측이 잘못된 발언을 즉각 철회하고, 대중 문제에서 문제를 일으키는 행위를 중단하며, 실제 행동으로 잘못을 바로잡아 중일 관계의 정치적 기반을 지킬 것을 엄중히 촉구했다"고 전했다.
마오 대변인은 또 브리핑에서 향후 중일 관계 전망을 묻는 중국중앙TV(CCTV) 기자의 질의에 "현재 중일 관계 상황은 다카이치 총리가 공개적으로 대만 관련 부적절한 발언을 하고 중국 내정에 노골적으로 간섭했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이어 "일본 측은 즉각 잘못된 발언을 철회하고, 깊이 반성하며, 중국 국민에게 명확하고 책임 있는 설명을 내놔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일본 외무성은 협의 이후 발표한 보도자료에서 가나이 국장이 쉐젠 주오사카 중국 총영사관의 '다카이치 총리 참수' 극언에 대해 거듭해서 중국 측에 "매우 부적절하다"며 강력히 항의하고 적절한 대응을 조속히 취해 달라고 요구했다고 밝혔다.
가나이 국장은 중국이 자국민을 대상으로 '여행 자제령'을 내리면서 치안 상황을 주시해야 한다고 밝힌 데 대해서는 일본 치안이 악화하지 않았다는 반론을 제기하고 대응책을 촉구했다.
아울러 가나이 국장은 중국에 체류하는 일본인의 안전을 확보해 달라고 류 국장에게 요청했다.
외무성은 "류 국장으로부터 중국 측 입장에 기초한 발언이 있었지만, 가나이 국장은 반론하고 일본 정부의 일관된 입장을 설명했다"고 전했다.
일본은 중국의 집요한 다카이치 총리 발언 철회 압박에도 국내 보수층 여론과 안보 영향 등을 고려해 철회를 거부하며 중국에 대화로 문제를 해결하자고 제안해 왔다.
이날 협의 뒤 온라인상에는 류 국장이 주머니에 손을 넣고 굳은 표정으로 가나이 국장을 내려다보고, 가나이 국장은 류 국장에게 고개를 숙인 모습을 담은 동영상이 확산해 눈길을 끌었다.
특히 해당 영상이 관영 매체인 CCTV 계열 소셜미디어 계정 '위위안탄톈'에 게재됐다는 점으로 미뤄볼 때 중국 측이 이 장면을 의도적으로 공개·유포한 것으로 추측됐다.
약 20초짜리 영상에서 류 국장은 시종 굳은 얼굴로 가나이 국장을 대했다. 가나이 국장은 고개를 숙인 채 류 국장의 발언을 듣는듯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전후 맥락에 대한 언급이나 구체적인 내용 설명 없이 공개된 영상이기는 하지만 일본 입장에서는 굴욕적인 모습처럼 비칠 수 있는 장면인 셈이다.
이날 양국 외교부 국장급 협의는 지난 7일 다카이치 총리가 '대만 유사시'가 일본이 집단 자위권을 행사할 수 있는 '존립위기 사태'에 해당할 수 있다고 밝히면서 중일 관계가 급속도로 냉각된 후 이뤄졌다.
기하라 미노루 일본 관방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가나이 국장과 류 국장이 만나는 일정과 관련해 정기적으로 벌여온 국장급 협의이며 "지난번에는 일본에서 열려 이번에는 베이징에서 개최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중국 외교부는 지난 13일 가나스기 겐지 주중 일본대사를 늦은 시간 초치해 공식 항의하는 한편, 이튿날 자국민에게 일본 방문 자제를 권고하는 등 본격적인 '제재'에 돌입했다.
이후에도 양국 간 우호 행사가 취소되거나, 일본 영화의 중국 내 개봉이 연기되는 등 중국 측은 제재 범위를 넓히며 일본을 압박하고 있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 계열의 영자신문 글로벌타임스(GT)는 17일 사설격인 'GT 목소리'(GT Voice)를 통해 중국의 본격적인 '한일령'(限日令) 제재가 일본 경제에 타격을 줄 수 있음을 암시하는 경고성 사설을 싣기도 했다.
교도통신은 이번 협의에도 양측 간 골이 메워지지 않았다면서 "긴장이 장기화할 우려가 있다"고 관측했다.
그러면서 후나코시 다케히로 외무성 사무차관이 우장하오 주일 중국대사와 만날 것으로 전망된다고 덧붙였다.
일본은 오는 22일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다카이치 총리와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 간 대화 기회를 모색할 것으로 전망된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박상현
저작권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