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EN=김수형 기자] 방송인 이경실이 론칭한 달걀 브랜드가 ‘난각번호 4번’ 제품을 고가에 판매하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며 논란의 중심에 섰다. 현재 공연활동도 하고 있기에 무사히 마칠 수 있을지도 주목된다.
이번 논란은 지난 16일 조혜련이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이경실의 달걀을 홍보하면서 시작됐다. 조혜련은 “포장부터 다르다”, “옐로우와 화이트의 조화”라며 극찬을 이어갔지만, 사진 속 제품의 난각번호가 ‘4번’이라는 점이 확인되자 온라인에서는 즉각 비판이 쏟아졌다.
문제는 가격이다. 이경실 브랜드의 달걀은 30개 한 판에 1만 5천 원. 이는 일반적으로 사육환경이 가장 좋은 난각번호 1번 달걀 가격대와 맞먹거나 더 비싸다는 지적이 나왔다. 난각번호는 닭의 사육환경을 의미하며, 1번은 방사 사육, 4번은 기존 케이지 사육으로 환경 차이가 크다. 소비자들은 “4번 달걀은 가격 때문에 선택하는 건데 왜 1번 가격을 받느냐”며 불만을 표한 상황.
[사진]OSEN DB.
논란이 커지자 업체 측은 온라인 판매 페이지에 ‘4번 달걀 덕분에’라는 설명문을 게재해 해명에 나섰다. 업체는“난각번호와 관계없이 생산자들은 서로를 존중해야 한다”며“요즘 농장은 상향 평준화되어 과거처럼 살충제 검출을 우려할 상황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또 “동물복지란의 높은 가격은 ‘환경 개선 비용’일 뿐 품질 차이는 아니라”며“모든 농장이 동물복지가 되면 달걀 한 판은 3천 원이 될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아울러 HACCP·무살충제·무항생제·무농약·무의약품 인증을 모두 획득했고, 신선도 기준도 엄격히 지키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소비자들의 반응은 여전히 냉담하다. 온라인에서는 “소비자 바보로 아는 것 같다”, “4번을 왜 1번 가격에?”, “팬심으로 달걀을 사라는 거냐” 등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이 가운데 이경실이 평소 달걀에 남다른 애정을 드러냈던 것도 다시 회자되고 있다. 그는 과거 방송에서 “어릴 때 달걀을 마음껏 먹지 못했다”며 “한이 돼서 달걀 사업을 하게 됐다”고 밝힌 바. 그러나 이번 고가 판매 논란으로 해당 사연마저 냉소적으로 소비되는 분위기에. “너무 비난만 하기보다는 추가 입장을 조금 더 지켜보자”는 신중론도 적지 않다.
현재 이경실은 연극 '스페셜 보잉보잉’에 출연 중이다. 일각에서는 “논란이 확산되면 활동에 영향을 주는 것 아니냐”는 우려 속 무사히 공연을 마칠 수 있을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