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인선(64) 씨는 파크골프를 시작한 지 6년째다. 일반 골프를 치다가 지인 소개로 파크골프에 입문했다. 파크골프는 ‘공원에서 즐기는 미니골프’로 채 1개로 간편하게 티샷부터 퍼팅까지 할 수 있다.
오 씨는 “실수를 해도 골프처럼 스트레스가 심하지 않다. 배우기가 쉽고 초보자도 라운딩이 가능하다”며 “나이든 여성에게 특히 좋다. 친구들과 함께 4시간을 걷다 보면 우울증이 올 일이 없다. 골프는 한 번 치면 30만원 정도 든다. 파크골프는 매일 쳐도 부담이 없다”고 예찬론을 폈다.
그는 “나이에 대한 경계도 없다”며 “아버지가 90세인데, 얼마 전에 모시고 함께 라운딩을 했다. 특별한 경험을 했다며 즐거워하셨다. 효도한 기분이었다”라며 미소지었다. 그는 동국대 파크골프최고위과정에서 지도교수로도 일하고 있다. 파크골프가 생활의 일부가 됐다.
춘천 파크골프장에서 만난 권중헌(83)씨는 5년 전 파크골프를 시작했고, 4년 전부터 아내와 함께 즐기고 있다. 친하게 지내는 다른 부부와 4인조를 이뤄 일주일에 세 차례 정도 라운딩을 즐긴다. 그는 “그냥 만보 걷기를 하면 힘든데, 파크골프는 18홀을 두 바퀴 정도 돌면 8000보가 금세 나온다”고 말했다. 아내 이영애(79)씨는 “교제를 나누며 햇볕을 쬐면서 잔디를 걸으며 운동할 수 있어 행복하다”며 “4~5년 전부터 골감소증으로 고생했는데 지난해부터는 병원에서 정상이라고 하더라. 파크골프 효과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노인들이 친목을 다지면서 운동까지 할 수 있으니 이건 국가적이니 차원에서도 이득”아니냐며 “더 많이 투자하고 경기장도 더 지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동반 라운딩을 하던 이경순(72)씨는 “(춘천)공지천을 걷자고 할 때는 짜증 내던 남편이, 파크골프를 하자고 하면 말없이 따라 나온다”며 웃었다.
화천 산천어파크골프대회에 참가한 신중열(70 )씨는 “강원도 양양은 경기장 사정이 좋은 편이라 오전 10시부터 12시까지 거의 매일 파크골프를 친다”고 말했다. 스포츠지도사 자격증이 있는 그는 초등학생들에게 파크골프를 지도하는 일도 하고 있다. 그는 “초등학생 아이들도 즐거워하는 스포츠다. 육체, 정신, 사회적 건강에 모두 도움이 되는 좋은 운동”이라고 말했다.
윤몽룡(68) 씨는 파크골프 입문 2년차지만 올해 서울시협회장기, 서초구협회장기 등 각종 대회에 참가했다. 그는 “골프를 오래 쳤는데 파크골프는 대회에 참가하기가 쉽다. 선수로 뛰니까 더 흥미를 가지고 운동할 수 있다”고 말했다. 대한파크골프협회 권혁 사원은 “대한파크골프협회가 주최하거나 후원하는 대회가 올해 70여개에 이른다. 220개 시군구 협회가 여는 대회는 헤아리기 힘들 정도로 많다”고 설명했다.
파크골프는 노년의 ‘생활’을 바꾸는 ‘생활 스포츠’다. 신봉태 교수(동국대 파크골프 최고위과정)는 “지역별로 파크골프장이 많이 생기고 있지만 서울은 예약하기도 힘들 정도로 경기장이 부족하다. 클럽마다 대기 인원도 많다”고 “서울에는 파크골프장을 지을 곳이 없어 최근에는 스크린 파크골프장이 크게 늘고 있다”고 파크골프 열풍을 소개했다.
2024년 문화체육관광부 국민생활체육 조사에 따르면 60대 생활체육 참여율은 65%, 70대 이상의 생활체육 참여율은 57.7%에 이른다. 조영석 대한파크골프협회 사무처장은 “파크골프를 실버 스포츠가 아니라 젊은 세대와 시니어가 함께 어울리는 스포츠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라고 비전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