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를린=연합뉴스) 김계연 특파원 = 폴란드가 우크라이나와 연결된 철로 파괴공작과 관련해 러시아를 배후로 의심하고 러시아 영사관 1곳을 폐쇄했다.
AP통신 등에 따르면 라도스와프 시코르스키 폴란드 외무장관은 19일(현지시간) "그단스크에 있는 마지막 러시아 영사관의 운영 허가를 철회하기로 했다"며 몇 시간 안에 러시아에 통보하겠다고 말했다.
폴란드는 앞서 자국에서 발생한 방화 등 각종 파괴공작을 러시아가 꾸몄다며 포즈난·크라쿠프 등지의 러시아 영사관을 차례로 폐쇄했다. 그단스크 영사관이 문을 닫으면 폴란드 내 러시아 공관은 바르샤바 대사관 1곳만 남는다.
폴란드 정부는 지난 15∼16일 바르샤바와 동부 루블린을 연결하는 철로에서 발생한 파괴공작을 러시아 정보기관이 모의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바르샤바 남동쪽 미카의 철로에 폭발물이 설치됐고 이곳에서 약 20㎞ 떨어진 푸와비에서는 철제 클램프 등 열차 탈선을 유도한 흔적이 발견됐다.
폭발물은 화물열차가 통과하던 중 터졌으나 충격이 미미해 별다른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다. 철로 손상이 감지된 푸와비 인근에서는 승객 475명을 태운 열차가 급정차했다.
바르샤바-루블린 구간은 서방의 우크라이나 지원 물자를 실은 화물열차가 많이 운행하는 철로다.
폴란드 당국은 현장에 확보한 지문과 휴대전화 유심칩 정보 등을 토대로 우크라이나 국적 용의자 2명을 특정했다. 이들은 폭발·탈선을 영상으로 기록하기 위해 휴대전화를 현장에 둔 걸로 추정된다.
이들은 최근 벨라루스에서 폴란드로 함께 입국했고 범행 직후 다시 벨라루스로 도주했다. 용의자 1명은 올해 5월 우크라이나 르비우법원에서 파괴공작으로 유죄 판결을 받았고 다른 1명은 러시아 점령지역인 돈바스 출신이다.
도날트 투스크 총리는 수사 중이라서 이름을 밝힐 수 없지만 이들이 러시아 정보기관과 협력해 왔다고 주장했다.
서방은 러시아 정보기관이 유럽에 사회 불안을 일으키려고 일명 '일회용 요원'에게 수고비를 주고 파괴공작을 의뢰한다고 본다. 폴란드 당국은 2023년 이후 우크라이나 지원물자 운송 상황을 정탐한 벨라루스·우크라이나·조지아 등 국적의 철도 스파이를 줄줄이 체포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김계연
저작권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