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여당 ‘대의원제 무력화’ 투표…불만 끓는데, 말로는 못 꺼내

중앙일보

2025.11.19 07:49 2025.11.19 09:27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글자 크기 조절
기사 공유
더불어민주당이 권리당원과 대의원의 투표를 동일하게 한 표로 보는 안건에 대한 이틀 간의 당원 투표를 19일 시작했다.

▶대의원·권리당원 1인 1표제 ▶광역·기초 비례의원 선출 시 권리당원 투표 100% 반영 ▶공천 희망자가 4인 이상인 지방선거 선거구의 예비경선에 권리당원 투표 100% 반영 등 3가지 안건에 대한 찬반을 묻는 조사다. 투표에 참여 대상은 10월 한 달 당비를 납부한 164만 7000명 권리당원이다.

애초 ‘전 당원 투표’로 공지된 이번 조사의 의미를 박수현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최고위-당무위-중앙위로 이어지는 정식 의결에 앞서, 당원들에게 보고하고 의견을 구하는 민주적 과정”이라고 제한했다. 그러나 당내에선 “정 대표 연임을 위한 수순”(수도권 중진 의원)이란 목소리가 계속되고 있다. 다른 수도권 의원은 “대의원들로부터 ‘정청래의 독재를 막아달라’는 문자 폭탄이 쏟아진다”고 말했다.

가장 큰 쟁점은 당 대표·최고위원 선출 시 대의원과 권리당원의 투표의 가치를 ‘20:1 미만’으로 차등하는 규정을 삭제하는 내용이다. 그러면 대의원제는 사실상 무력화된다. 대의원과 권리당원 차등 폐지는 이재명 대표 시절에도 추진됐지만 2023년 11월 격론 끝에 이 차등의 폭을 60:1에서 20:1 미만으로 낮추는 데 그쳤다. 대의원제를 없애면 전체 권리당원의 33% 비율을 차지하는 호남 중심의 정당으로 돌아갈 수밖에 없다는 지적 때문이다.

대의원제가 무력화되면 내년 8월 전당대회는 정 대표에게 유리한 기울어진 운동장이 될 것이라는 게 당내 지배적 전망이다. 지난 8월 2일 전당대회에서도 정 대표는 대의원 투표에서 46.91%를 득표해 박찬대 후보(53.09%)에 밀렸지만, 권리당원 투표에서 66.48%와 국민 여론조사에서 60.46%의 지지를 받아 박 후보를 꺾었다.

당내 불만은 공개적 반발로 이어지진 않고 있다. 당 지도부 의원은 “다들 당원 눈치 보기 바쁜데 누가 차등 폐지를 나서서 반대하겠느냐”며 “공개적으로 반발이 있어도 정 대표는 신경 쓰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성수 한양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대의원제가 무력화되면, 책임의식을 갖는 당원(대의원)들의 숙의 과정이 사라지고 민주주의는 후퇴할 수밖에 없다”며 “다수의 당원의 감정에 휘둘리는 걸 막는 최소한의 안전 장치가 사라지는 것”이라고 말했다.





강보현([email protected])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