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AI시대 기술경쟁, 하루 늦으면 한세대가 뒤처진다"

중앙일보

2025.11.19 12:00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글자 크기 조절
기사 공유


AI시대 리더십, 대한민국 길을 묻다

‘2025 중앙포럼’이 19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AI 시대 새로운 리더십: 대한민국의 길을 묻다’를 주제로 열렸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축사를 통해 “이재명 정부는 인공지능 시대에 ‘하루 늦으면 한 세대가 뒤처진다’는 생각으로 AI 기술 주도권 확보를 위해 나아가고 있다”고 말했다. 우상조 기자
김민석 국무총리는 19일 “이재명 정부는 ‘인공지능(AI) 시대에는 하루 늦으면 한 세대가 뒤처진다’는 생각으로 AI 기술 주도권 확보를 위해 쉼 없이 나아가고 있다”고 말했다. 김 총리는 이날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2025 중앙포럼’ 축사에서 “세상이 어마어마하게 변하고 있다. 통상 질서가 재편되고, AI가 대전환의 변화 질서를 만들어내고 있다”며 이렇게 말했다.

김 총리는 “AI 시대의 새로운 리더십은 기술 혁신을 앞당기는 것뿐 아니라 사람과 사람, 나라와 나라 사이의 연대와 협력을 이끌어내는 것”이라며 새 리더십의 키워드로 ‘연결’을 제시했다. 김 총리는 10조원에 달하는 내년도 AI 예산을 언급하며 “정부는 ‘모두를 위한 AI’라는 비전 아래 누구도 AI로부터 소외되는 분이 없도록 힘쓰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경주 APEC에서 채택된 ‘AI 이니셔티브’가 대한민국의 글로벌 AI 리더십을 뒷받침할 중요한 토대가 될 것”이라며 “AI 혁명 시대에 더 큰 도약을 이뤄내도록 앞장서겠다”고 덧붙였다.

‘AI 시대 새로운 리더십: 대한민국의 길을 묻다’를 주제로 열린 이날 포럼에서 홍정도 중앙홀딩스 부회장은 개회 선언을 통해 “AI가 빠른 속도로 진화를 거듭하며 경제·사회·안보 등 모든 영역의 질서를 뿌리째 흔들고 있다. 거침없는 변화 앞에서 ‘우리는 충분히 준비돼 있는가’ 하는 질문을 해 본다”고 화두를 던졌다. 이어 “한국은 좀 더 복잡한 좌표 위에서 우리 위치를 확보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동맹과 신뢰를 단단히 하면서도 연대의 폭을 넓히는 역량이 어느 때보다 필요하다”며 “중앙포럼이 그 출발점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박장희 중앙일보 대표는 개회사에서 “AI 경쟁은 단순한 기술 혁신을 넘어 데이터와 인재, 더 나아가 글로벌 질서를 재편하는 무대”라며 “한국은 지정학적으로나, 산업적으로나 경쟁의 한복판에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극단의 주장을 멈추고 미래 세대를 위해 어디로 길을 내야 할지 함께 궁리해야 한다”고 했다.

19일 서울 중구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AI 시대 새로운 리더십: 대한민국의 길을 묻다’를 주제로 ‘2025 중앙포럼’이 열렸다. 앞줄 왼쪽부터 박장희 중앙일보 대표, 국민의힘 배현진 의원, 김정재 의원, 김도읍 정책위의장, 이중근 대한노인회 회장, 김민석 국무총리, 홍정도 중앙홀딩스 부회장, 데이비드 에델먼 MIT 인터넷정책연구소 기술·경제·국가안보 프로젝트 디렉터, 손경식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 더불어민주당 박홍근 의원, 김영진 의원, 김영배 의원, 고민정 의원, 구혁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 뒷줄 왼쪽부터 김정욱 넥슨코리아 대표, 류열 에쓰오일 사장, 박주형 신세계백화점 대표, 송희준 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황기연 한국수출입은행장, 강태영 NH농협은행장, 권혁웅 한화생명 부회장, 하범종 LG 사장, 이동우 롯데지주 부회장, 이형희 SK 부회장, 박승희 삼성전자 사장, 구본욱 KB손해보험 대표, 박창훈 신한카드 대표, 남궁원 하나생명보험 사장, 노진서 LX홀딩스 대표, 이영규 현대차그룹 부사장. 김경록 기자
이날 포럼에는 김 총리 외에 더불어민주당 박홍근·김영진·김영배·고민정 의원, 국민의힘 김도읍·안철수·김정재·배현진 의원, 손경식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 이중근 대한노인회장 등 정·관·재계 인사 460여 명이 참석했다.





김기환.한영익.조수빈([email protected])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