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우리 병원 청소부, 사실 부자다" 의사도 질투한 할머니 정체

중앙일보

2025.11.19 12:00 2025.11.19 12:20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글자 크기 조절
기사 공유
많은 은퇴자가 시련을 겪습니다. 몸은 예전 같지 않고 친구들은 하나둘 떠나가는데, 가정이나 사회에서 존경받지 못 한다는 억하심정도 생기죠. 은퇴를 해도 삶이 계속되는 것은 비극일까요, 희극일까요.

1934년생, 아흔둘의 이시형(정신과 전문의) 박사는 “이 말은 꼭 해주고 싶다”며 “당신이 살아온 날보다 앞으로 살아갈 날이 더 귀하다”고 강조합니다. 이 박사는 은퇴 나이가 훌쩍 지났음에도, 여전히 새로운 연구 자료를 찾고 공부합니다. 강연 요청이 들어오면 꼭 참석하죠. 할 일이 있다는 걸 감사해 하고, 남은 시간을 소중히 보내려고 합니다.

1943년생, 여든셋의 윤방부(가정의학과 전문의) 박사도 비슷한 이야기를 합니다. “나에게 은퇴하라는 것은 죽으라는 말과 같다”는 한 인류학자의 말을 인용하며, “생물학적 나이는 어쩔 수 없지만, 사회적 나이는 내가 결정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노후에도 이들처럼 왕성하게 활동하며 건강하게 사는 것이 모든 이의 소망일 텐데요. 더중앙플러스 ‘뉴스페어링’에선 두 박사에게 행복한 노후를 맞이하는 법에 대해 들었습니다. 1편 ‘둘이 합쳐 175살 현역 의사…‘아침 식단’ 그들의 비결 똑같다’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79457) 에선 이들의 신체 장수의 비밀을 파헤쳤다면, 2편에서는 100세를 잘 살기 위한 마음 공부법에 대해 들었습니다.

두 사람은 “젊을 때의 지위를 내려놓고, 지금 할 수 있는 일을 열심히 하면 다 의미 있는 인생이 된다”고 입을 모읍니다. 그러면서 윤 박사는 병원에서 청소일을 하는 부자 할머니와, 택시 기사가 된 전직 대학교수 이야기를 꺼냈는데요. 이들에겐 어떤 사연이 있었을까요? 은퇴 후에 새로운 일을 찾기 위해선 어떤 준비가 필요할까요?

말년에 외롭지 않으려면 인간관계도 중요할 텐데요. 가족·친구·동료 등과 관계를 잘 유지하는 법도 들었습니다. 말년의 고독·우울·불안을 다스리는 방법까지, ‘호모 헌드레드’ 8090 두 현역 명의의 인생 통찰은 아래 링크에서 이어집니다.

(계속)
- 인생 점수, ‘이 지점’에서 갈린다
- 청소부 된 부자 할머니…명의도 부러워
- 행복한 말년 위해, 꼭 준비할 것 세 가지
- “누구든지 비판하지 말아라”
- 신체는 늙어도, 정신이 늙지 않으려면
- 친구 부고 소식, 슬픔 이겨내는 법
"우리 병원 청소부, 부자예요" 의사도 부러워한 할머니 정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81196


김홍범([email protected])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