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 피싱 조직에 대포 통장을 공급해 수십억원대 사기 피해를 유발한 폭력 조직원 등 일당이 붙잡혔다.
강원경찰청 형사기동대는 통신사기피해환급법·범죄수익은닉규제법·사기·전자금융거래법·전기통신사업법 등 위반 혐의로 6명을 구속하고 53명을 불구속 송치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들은 캄보디아 기반 피싱 사기 조직에 대포통장 191개와 스마트뱅킹용 휴대전화를 제공해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4월까지 국내 피해자 63명에게 총 37억5000만원의 피해를 준 혐의를 받고 있다.
조사 결과 이들은 물건을 공급하면 대가로 건당 500만∼1000만원을 받아 챙겨 약 10억원의 수익금을 손에 쥐었다. 캄보디아 피싱 조직은 넘겨받은 대포 물건을 이성적 호감을 가장해 접근한 후 금전적 이득을 취하는 로맨스 스캠과 투자 사기 등 50건이 넘는 범죄에 활용했다.
━
물건 공급 대가 건당 최대 1000만원
이 밖에도 군부대 사칭 노쇼(no-show·예약 부도) 사기, 인터넷 직거래 사기, 납치 빙자 보이스피싱 등 다양한 범죄에도 대포통장이 함께 활용된 것으로 드러났다.
강원경찰청 형사기동대는 지난 3월 강원 춘천권역을 중심으로 활동하던 폭력조직원이 피싱 사기와 연루됐다는 첩보를 입수하고 곧바로 수사에 착수해 강원·광주·대전·울산 등 전국 4개 폭력조직원 11명을 포함한 유통조직원 59명을 검거했다. 이 가운데 6명은 구속됐다.
수사 결과 이들은 캄보디아 현지에서 피싱 조직에 대포통장을 넘기는 국내 총책, 국내에서 공급을 관리하는 관리책, 모집책 그리고 명의를 제공하는 명의 공급책으로 역할을 나눠 조직적으로 움직인 것으로 확인됐다.
━
인관관계 밀접한 지인으로 조직 꾸려
이들 조직은 추적을 피하기 위해 지역 내 인간관계가 밀접한 20~30대 선후배, 지인들로 인원을 꾸렸고 이탈 조짐을 보이는 조직원에게는 협박을 일삼으며 범행을 강요하기도 했다.
조직원들은 버스 수화물을 이용해 물건을 전달하거나 텔레그램 등 비대면 수단으로 소통하며 수사망을 피했다. 계좌가 지급정지 될 가능성도 고려해 자체 매뉴얼을 만들어 공유했다. 여기에 계좌 인증 절차나 수익금 무단 인출 방지를 위해 지인 명의 대포통장만 알선하는 등 치밀하게 범행을 이어갔다.
경찰은 검거 과정에서 조직원 상당수가 상부로부터 변호사 비용, 벌금, 금융기관 제출용 소명자료 제작 등 전폭적인 지원을 받으며 범행을 지속해 온 사실도 확인했다.
최현석 강원경찰청장은 “고액의 금전적 유혹에 계좌나 유심을 불법 대여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며 “이 같은 대포 물건은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를 양산하고 사기죄 공범으로 중한 처벌을 받을 수 있는 만큼, 지속적인 단속과 엄정한 수사로 대응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