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스무살' 담배규제협약…신종담배 맞서 무니코틴 담배·소매점 축소 띄운다

중앙일보

2025.11.20 00:03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글자 크기 조절
기사 공유
서울의 한 무인 전자담배 판매점 내 자동판매기에 합성니코틴 액상형 전자담배 제품이 진열돼 있다. 연합뉴스
무(無)니코틴 담배, 소매점 축소, 담배 제조사에 대한 환경부담금 부과…. 신종 담배의 도전에 직면한 '스무살' 세계보건기구(WHO) 담배규제기본협약(FCTC)이 바라보는 새로운 규제 선택지들이다. 한국도 언젠가 살펴봐야 할 대안들이다.

FCTC 11차 당사국총회가 17~22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에서 '20년의 변화, 세대를 잇는 담배 없는 미래'라는 주제로 진행되고 있다. 2005년 발효된 FCTC는 전 세계 담배 소비·흡연율 감소를 목적으로 하는 보건 분야 최초 국제협약이다. 올해 기준 협약 당사국은 183개국이며, 한국도 참여하고 있다. 격년으로 열리는 총회는 국가별 협약 이행 상황을 점검하고, 향후 이행 촉진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다.

FCTC는 지난 20년간 금연구역 확대 등 국제적인 담배 규제 강화에 기여해왔다. 하지만 최근 들어 합성 니코틴 제품 등 신종 담배의 거센 공격을 받고 있다. 이번 총회에 정부대표단을 보낸 한국도 니코틴 제품 규제를 위한 담배 정의 확대 법안 등을 추진하고 있지만, 넘어야 할 허들이 적지 않다. 그러는 사이 전자담배 등의 사용률이 오르고, 청소년·여성 등이 담배 제품에 노출되고 있다.
스위스 제네바에 있는 WHO 본부 외경. 로이터=연합뉴스
이 때문에 총회에선 기존의 담배 규제를 넘어 새로운 규제 논의에 집중하고 있다. FCTC에 따르면 전문가 그룹의 선별을 거쳐 '미래 지향적 담배 규제 조치' 논의 테이블에 오른 건 16가지다. 담배 공급부터 제도·시장, 소비자, 제품까지 전반적으로 아우르는 대안들이다.

일상에서 담배 제품을 제일 쉽게 접할 수 있는 소매점은 '감소'에 초점이 맞춰졌다. 이를 위한 점포 간 최소 거리 의무화, 매장 수 상한 설정 등의 방안이 제시됐다. 실제로 헝가리에선 담배 소매점 밀도가 85% 감소하자, 청소년 흡연이 줄어드는 효과를 거뒀다.

니코틴을 중독 수준 이하로 낮춘 무니코틴·저(低)니코틴 담배만 판매토록 하자는 제안도 나왔다. 강력한 중독성 물질인 니코틴을 원천적으로 억제하는 차원이다. 뉴질랜드에서 이러한 규제를 요구하는 법안이 2022년 통과됐지만, 시행 전인 지난해 폐기된 바 있다.
서울 시내 하수구에 담배꽁초가 무더기로 버려져 있다. 연합뉴스
그 밖엔 ▶담배 필터·쓰레기 등의 환경 비용을 제조사에 매기는 환경부담금·생산자책임제 ▶멘톨을 비롯한 가향 제품의 전면 금지 ▶담배 생산·수입량 할당제 등도 향후 규제 '옵션'으로 올라왔다. FCTC 전문가 그룹은 "각국이 미래 지향적 규제의 도입 가능성을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성규 한국담배규제연구교육센터장은 "이번 논의는 더 강력한 조치로 전 세계 모든 인구를, 모든 종류의 담배 제품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노력의 첫 단추를 끼운 셈"이라면서 "FCTC가 20년간 주로 궐련을 중심으로 담뱃세 인상, 담뱃갑 경고그림 확대 같은 금연 정책 방향성을 제시한 데서 더 나아갔다는 의미를 갖는다"고 밝혔다. 정부대표단 수석대표인 곽순헌 보건복지부 건강정책국장은 "회의 결과를 면밀히 검토해 국내 정책에 반영함으로써 국민 건강 보호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정종훈([email protected])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