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개최 예정이던 한·중·일 문화장관회의가 사실상 취소됐다. 다카이치 사나에(高市早苗) 일본 총리의 ‘대만 유사시 개입’ 발언 이후 중·일 양국 간 갈등 격화의 불똥이 동북아시아 역내 문화 교류에까지 튄 것이다.
20일 문화체육관광부에 따르면 중국 문화여유부(문화관광부)는 지난 18일 한국 문체부 측에 오는 24일 중국 마카오에서 열릴 예정이던 ‘2025 한·중·일 문화장관회의’를 잠정 연기한다고 전했다.
지난 2007년부터 매해 한·중·일이 번갈아 개최한 문화장관회의는 3국 간 문화 교류와 협력을 증진하기 위한 고위급 회담이다.
중국 문화여유부는 구체적인 회의 연기 사유를 따로 한국 측에 밝히지는 않았다. 하지만 중국 측은 외교부를 통해 이번 회의 연기 이유가 일본에 있다는 점을 공공연히 드러냈다. 마오닝(毛寧)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일본 지도자는 공공연하게 극도로 잘못된 대만 관련 발언을 발표해 중국 인민의 감정을 상하게 했고, 전후 국제 질서에 도전했다”며 “중·일·한 3국 협력의 기초와 분위기를 훼손했고, 중·일·한 관련 회의의 개최 조건이 잠시 갖춰지지 못하게 했다”고 말했다.
지난 7일 다카이치 총리는 중의원(하원)에서 일본 현직 총리로는 처음으로 대만 유사시 일본이 집단 자위권을 행사할 수 있다는 발언을 했다. 이후 중국의 정부 부처와 관영 매체는 연일 강도 높은 비난을 쏟아내고 있다. 중국 관영 환구시보는 이날 논평을 통해 ‘만약 일본이 잘못된 발언을 철회하지 않고 도발적 행동을 한다면 중국은 더 강력한 대응 조치를 취할 이유가 충분히 있다’고 밝혔다.
중국 정부는 또 자국민에 일본 여행·유학 자제령을 내리고 일본 영화 상영 중단 등의 보복 조치를 내놓고 있다. 전날에는 이달 들어 약 2년 만에 재개된 일본산 수산물 수입을 다시 중단하기로 했다.
문화 분야 등 정부 간 교류에도 빨간 불이 켜졌다. 관영 중국중앙TV(CCTV) 계열의 소셜미디어 계정 ‘위위안탄톈’은 중국이 일본을 겨냥한 실질적 반격 준비를 모두 마친 상태라며 ‘대(對) 일본 제재’와 ‘양국 정부 간 교류 중단’을 대응 수단으로 꼽았다.
양국 대치가 지속한다면 일본이 개최를 추진해온 한·중·일 정상회의를 비롯해 여러 분야의 3자 간 대화 및 교류가 어려워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