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지펀드 대부' 달리오 "시장 거품 있지만 터트릴 요인 없어"
"거품 있다고 팔아선 안돼…향후 10년 기대 수익률은 낮을 것"
(뉴욕=연합뉴스) 이지헌 특파원 = 세계 최대 헤지펀드인 브리지워터 어소시에이츠(이하 브리지워터)의 창업자 레이 달리오는 20일(현지시간) 현재 금융시장에 분명히 거품이 존재하지만 당장 이를 터트릴 만한 요인은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시장에 거품이 존재할 경우 향후 기대수익률을 낮추긴 하지만 자산을 팔아야 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강조했다.
달리오는 이날 CNBC 방송 인터뷰에서 인공지능(AI) 업종 관련 거품 논란에 대해 "분명히 시장에 거품은 있다"라고 밝혔다.
그는 자신이 모니터링하는 거품 측정 지표가 1929년 대공황 직전과 2000년 정보기술(IT) 거품이 터지기 직전 100%를 가리켰다면, 현재는 약 80% 수준을 가리키고 있다고 소개했다.
달리오는 "거품이 터지기 전 가격 급등이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재강조한다"면서도 "그러나 거품은 지속이 불가능한 일련의 상황을 의미한다"라고 말했다.
그는 "거품이 있다고 해서 (위험자산을) 팔지는 말라"라고 강조하면서도 "그러나 거품 영역에 있을 때 향후 10년간 기대 수익률은 매우 낮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앞서 JP모건체이스는 역사적으로 볼 때 주가수익비율(PER)이 약 22배인 시점에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를 매수했을 때 10년간 연평균 기대 수익률이 -2∼2% 사이였다는 분석 보고서를 내놓은 바 있다.
시장조사업체 팩트셋에 따르면 지난 14일 보고서에서 S&P 500 지수의 12개월 선행 주가수익비율이 22.4다.
달리오는 "거품을 터트리는 것은 일반적으로 (긴축) 통화정책인데, 우리는 지금 이런 정책 상황을 가지지 않을 것"이라며 "우리는 거품 영역에 있지만, 아직 이를 터트릴 요인은 없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현금에 대한 필요가 항상 거품을 터트린다"며 연방정부나 주(州) 정부 차원에서 부유세가 부과되는 경우 등이 거품을 터트리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달리오는 1975년 설립한 헤지펀드 브리지워터를 세계 최대 규모 펀드로 키우면서 '헤지펀드 대부'이자 '월가의 구루(스승이라는 의미)'로 평가받는 투자자다.
브리지워터는 지난 2007년 과도한 부채에 따른 위기 가능성을 시장에 경고했고, 2008년 금융위기 당시 시장 대혼란 속에서도 펀드 자산을 고스란히 지켜내면서 명성을 떨쳤다. 달리오는 현재 브리지워터 경영에서 물러난 상태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지헌
저작권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