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EN=지민경 기자] 컴백을 3일 앞둔 라이즈(RIIZE)의 새로운 싱글 ‘Fame’(페임)은 이들이 올해 5월 선보인 첫 정규 앨범 ‘ODYSSEY’(오디세이) 이후 6개월 만에 발표하는 신보인 만큼, 전 세계 팬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가운데 감상 포인트를 살펴본다.
◆ 이모셔널 라이즈: 레이지 스타일 힙합! 격정의 이모셔널 팝 탄생
이번 싱글은 팀명처럼 ‘성장과 실현’을 거듭해온 라이즈의 성장 이야기에서 잠시 벗어나 그 과정의 이면에 초점을 두고 있다. 치열한 성장 과정에서 때때로 멤버들의 내면에 피어난 감정들은 물론, 그로 인해 생긴 격정까지 라이즈 독자적 장르 ‘이모셔널 팝’으로 만날 수 있다.
주로 밝고 도전적인 메시지를 담아 많은 사랑을 받은 ‘Get A Guitar’(겟 어 기타), ‘Love 119’(러브 원원나인), ‘Impossible’(임파서블), ‘Boom Boom Bass’(붐 붐 베이스), ‘Fly Up’(플라이 업) 등 기존 라이즈의 디스코그래피와 차별화되는 싱글인 만큼, 또 한번 변신한 라이즈의 모습을 예고한 신보에 궁금증이 증폭되고 있다.
특히 타이틀 곡 ‘Fame’은 라이즈가 처음 도전하는 레이지(Rage) 스타일의 힙합 곡으로, 과감히 전진하는 듯한 강렬한 리듬 구성에 일렉 기타의 거친 질감이 더해져 역동적인 에너지가 느껴지며, 가사에는 아티스트로서 라이즈의 이상향을 표현, 우리가 진정 원하는 것은 명성 보다 감정과 사랑의 공유라는 메시지를 전한다.
총 3곡이 수록된 이번 싱글은 자신의 불안을 인정하고 수용하는 태도를 녹인 ‘Something’s in the Water’(썸띵스 인 더 워터)로 시작해, 타이틀 곡 ‘Fame’을 지나, 상대를 위해 모든 걸 바치겠다는 순수한 사랑 이야기를 그린 ‘Sticky Like’(스티키 라이크) 순서로 트랙이 배치되어 리스너들이 ‘이모셔널 팝 아티스트’ 라이즈의 내면에 온전히 몰입할 수 있도록 돕는다.
◆ 플레이어 라이즈: 고민과 노력의 시간이 만든 결과물! 고난도 퍼포먼스
라이즈는 싱글 전체를 관통하는 메시지를 타이틀 곡 ‘Fame’에 담았고 퍼포먼스를 통해 입체적으로 표현한다. 컴백 전 라이즈 오디세이 인스타그램 계정 속 보이스 노트, 텍스트 메모로 드러난 멤버들의 고민과 ‘pre-alize’(프리얼라이즈) 콘텐츠에 포착된 리스닝 세션, 녹음 현장, 안무 연습 등 노력의 시간을 지나 서서히 완성되고 있는 ‘Fame’이 더욱 기대되는 이유다.
‘Fame’ 퍼포먼스는 곡 분위기에 맞춰 힙합을 기반으로 제작, 정교한 리듬 해석을 바탕으로 한 여유로운 흐름과 폭발적인 힘을 함께 만날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아웃트로 파트에 쌓아온 감정을 터뜨리듯 빠르게 몰아치는 댄스 브레이크가 시선을 사로잡을 것으로 보인다.
11월 24일 오후 5시 라이즈는 예스24 라이브홀에서 개최되고 유튜브 및 틱톡 라이즈 채널 등에서 온라인 생중계되는 쇼케이스를 통해 팬들 앞에서 ‘Fame’ 무대를 최초 공개한다. 이어서 6시에는 전곡 음원과 동시에 ‘Fame’ 뮤직비디오가 오픈, 새로운 콘셉트와 퍼포먼스로 한층 변화된 존재감을 드러내는 감각적인 영상으로 뜨거운 반응을 얻을 전망이다.
◆ 비주얼 라이즈: K팝 무대 넘어 미술관으로! 정교한 영역 확장
‘Fame’을 위해 정교하게 준비된 ‘비주얼 그 이상’의 영역도 화제다. 싱글 콘셉트에 맞춰 내면에 숨어있던 감정을 시각화한 티저 이미지 및 트레일러 영상이 공개, 영국 런던의 대저택을 배경으로 한 라이즈의 초상은 고요함 가운데 느껴지는 역설적인 긴장감을 아름답게 그려내 호응을 얻었고, 이러한 초상을 몰입해서 감상 가능한 전시회와 앨범 구성도 눈길을 끈다.
그 정점은 오는 30일까지 일민미술관에서 열리는 전시회 ‘Silence: Inside the Fame 고요와 파동’(사일런스: 인사이드 더 페임 고요와 파동)이다. 일민미술관이 K팝 아티스트와 협업해 대규모 전시를 여는 것은 처음인 만큼 관심이 끊이지 않는 상황. 더불어 앨범 구성 역시 싱글 관련 이미지가 포함된 포토북 버전 뿐만 아니라 전시회 도록처럼 만들어진 카탈로그 버전, 작은 선물 박스 같은 체임버 버전, ‘Fame’ 뮤직비디오 속 비주얼이 유일하게 담긴 SMini(슴미니) 버전까지 다채롭게 제작되어 음악과 퍼포먼스, 비주얼 영역까지 여러 방면으로 즐기기에 충분하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