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국힘, 지방선거 경선 당원투표 비중 50%→70% 상향…청년·여성 가산점 확대

중앙일보

2025.11.21 00:47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글자 크기 조절
기사 공유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 등이 지난 12일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중앙당사에서 열린 지방선거총괄기획단 및 시·도 광역단체장 연석회의에 참석해 오세훈 서울시장을 비롯한 시·도 광역단체장들과 기념촬영하고 있다. 뉴스1

더불어민주당이 내년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권리당원 권한을 강화한 데 이어 국민의힘도 경선에서 당심 반영 비율을 기존 50%에서 70%로 높이기로 했다. 청년과 여성 신인 영입을 위한 가산점 제도도 대폭 손질한다.

국민의힘 지방선거총괄기획단은 21일 국회에서 전체회의를 열고 이 같은 경선룰 개편안을 확정해 최고위원회에 건의하기로 했다고 조지연 의원이 밝혔다. 변경안에 따르면 지방선거 공직 후보자 선출 방식은 ‘당원 선거인단 50%, 여론조사 50%’에서 ‘당원투표 70%, 여론조사 30%’로 바뀌게 된다. 나경원 위원장은 “당세 확장을 위한 결정”이라고 설명했다.

청년·여성 신인에게 부여하는 가산점도 현행 득표율 비례 방식에서 일정 수치를 직접 더하는 정량 방식으로 전환한다. 이에 따라 만 34세 이하 청년 신인은 득표율에 20%포인트, 만 35세 이상∼만 44세 이하 청년은 15%포인트, 만 45세 이상 여성 신인은 10%포인트의 가산점을 받게 된다.

청년 인재 발굴도 강화된다. 광역의회 비례대표 후보는 중앙당이 주관하는 청년인재 공개 오디션을 통해 선발하며, 시·도 광역의회 비례대표 후보 명단에는 오디션 선발 청년을 최우선 당선권에 배치하기로 했다.
조지연 국민의힘 의원이 21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지방선거총괄기획단 제4차 전체회의 결과 브리핑을 하고 있다. 뉴스1

기획단은 아울러 ‘4대 공직 부적격·실격 기준’을 마련해 부정부패, 삼권분립·법치 훼손, 직장 내 갑질, 뇌물수수형 모금, 부동산·주식 불법 거래, 입학·채용비리 등을 심사 기준에 포함하도록 했다.

또한 오랜 기간 당에 기여한 인재가 실질적으로 평가받을 수 있도록 ‘당 기여도’와 ‘당원 모집’에 대한 최소 기준을 설정하고, 공직선거 준비 및 조직 발전 기여도도 종합 반영하기로 했다.

예비 후보자 대상 자격시험인 ‘공직후보자 기초자격 평가(PPAT)’도 확대해 광역·기초의원뿐 아니라 기초단체장 출마자도 응시하도록 했다. 후보자는 관련 교육을 이수하고 시험을 치러야 한다.

기획단은 최근 시·도지사 연석회의에 이어 오는 25일에는 국민의힘 소속 기초단체장들을 초청해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다.



정재홍([email protected])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