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성비 좋은 소고기’로 한국인들이 즐겨 먹는 미국산 소고기 가격이 상승세다. 연말 소비 대목을 앞두고 외식ㆍ밥상 물가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21일 축산물품질평가원 축산유통 정보에 따르면 지난달 미국산 소고기(냉동 갈비) 소비자 가격은 100g당 4435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4304원)보다 3%, 평년(3718원)보다 19.3% 비싸졌다. 한 대형마트 기준으로는 전년 대비 20% 올랐다.
우선 미국에서 소 사육 규모가 감소한 영향이 크다. 올해 1월 기준 8720만 두로 1951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최근 몇 년간 심각한 가뭄과 겨울철 한파로 목초지가 황폐해지고, 옥수수 등 소 사료 가격이 급등하자 농가들이 사육 두수를 줄였다.
달러당 원화가치 하락(환율은 상승)세도 미국산 소고기 가격을 끌어올리고 있다. 지난 9월 초 1390원대이던 달러당 원화가치는 이달 들어 1470원대까지 하락했다. 달러가 강세를 나타내면 원가인 미국산 소고기 수입 물가도 오른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수입물가지수는 전달보다 1.9% 오른 138.17로 4개월 연속 상승세다. 유통업체들이 시차를 두고 이를 국내 물가에 반영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앞으로 소비자 부담이 더 커질 수 있다.
한우 가격도 심상찮다. 국가데이터처에 따르면 올해 10월 국산 소고기 소비자물가지수는 109.84(2020=100)로 전년 동월 대비 4.6% 뛰었다. 축산물품질평가원 통계에서도 지난달 국내산 안심 1등급(100g) 평균 소비자 가격은 1만3113원으로, 전년 대비 3.9% 상승했다. 주요 대형마트에서 한우 판매가는 부위별 차이가 있지만 평균적으로 전년 대비 15%이상 올랐다.
국내에서도 공급 부족이 가격을 끌어올리는 것으로 분석된다. 한우 농가들은 코로나19팬데믹 이후 공급 과잉이 나타나자 이를 해소하기 위해 한우 사육ㆍ도축 두수를 차츰 줄이고 있다. 한 대형마트 관계자는 “사육 두수가 전년 대비 16% 정도 줄면서 등심 기준으로는 20%까지 가격이 올랐다”고 말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올해 4분기 한우 도축 마릿수가 20만5000마리로 전년 동기 대비 17.3%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축산업계 관계자는 “지난 7월부터 국내산 소고기 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현재는 전년보다 10% 이상 높은 수준”이라며 “농가에서 암소 사육 의향이 생겨나고 있지만 가격 안정으로 이어지기까지는 시간이 더 소요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