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이신영 기자 = 존 F. 케네디 전 미국 대통령의 외손녀인 타티아나 슐로스버그(35)가 말기 암으로 여생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사실을 공개했다.
환경 전문 기자인 슐로스버그는 22일(현지시간) 미국 시사주간 '뉴요커' 기고를 통해 자신이 지난해 5월 딸을 출산한 직후 희귀 돌연변이를 동반한 급성 골수성 백혈병(AML) 진단을 받았다고 밝혔다.
CNN에 따르면 슐로스버그에게 나타난 돌연변이는 급성 골수성 백혈병 사례에서도 2% 미만에서만 발견되며, 의료진은 그에게 남은 시간이 1년 미만이라고 예상했다.
슐로스버그는 케네디 전 대통령의 딸인 캐럴라인 케네디의 둘째 딸이다.
그는 자신이 "임신 9개월 차에도 수영했고 아프지도 않았고 아픈 느낌도 전혀 없었다"며 암 진단 사실을 믿을 수 없었다고 했다.
그러면서 자신이 항암치료와 골수이식 등을 받는 동안 언니 로즈와 동생 잭이 자신을 도와줬다며 "내 손을 잡고 나를 보호하기 위해 자신들의 아픔과 슬픔을 보이지 않으려 했다"고 고마움을 전했다.
슐로스버그는 자신이 케네디 가문의 비극을 반복하게 됐다고도 한탄했다.
그는 "평생 착하게 살려고 노력해왔고, 모범생, 착한 딸이 되려고 했는데 이제 어머니의 삶과 가족의 삶에 비극을 더해버렸다"며 "막을 방법이 전혀 없었다"고 안타까워했다.
미국 사회에서 케네디가는 정치 명문으로 통하지만 유독 비극적인 사건이 많이 발생해 '케네디가의 저주'라는 말까지 생겨났다.
케네디 전 대통령이 1963년 암살된 데 이어 그의 동생인 로버트 케네디도 유세 도중 총격으로 사망했고 아들인 케네디 주니어는 경비행기 추락 사고로 숨지는 등 불행한 사건이 끊이지 않았다.
슐로스버그는 이번 기고문에서 사촌인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 보건복지부 장관에 대해 "나와 가족들에게는 부끄러운 존재였다"며 공개적으로 비판했다.
그는 특히 케네디 주니어 장관이 암 치료에 활용될 수 있는 백신 연구 예산을 삭감했다고 지적하며 그가 지지하는 정책이 자신과 같은 암 환자들에게 해가 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슐로스버그의 기고문은 케네디 전 대통령이 암살된 지 62년 되는 날 발표됐다. 남동생 잭은 최근 뉴욕 연방하원의원 출마를 공식 발표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신영
저작권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