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혁신당은 23일 다시 조국 비상대책위원장을 새 대표로 선출했다. 8·15 특사로 정치 활동을 재개한 지 3개월 만이다.
혁신당은 이날 충북 청주 오스코에선 전당대회를 열고 단독 입후보한 조 대표에 대한 찬반을 묻기 위한 투표를 진행했다. 투표율은 47.3%를 기록했고, ‘찬성’이 98.6%였다. 최고위원에는 신장식·정춘생 의원이 선출됐고, 조 대표는 사무총장에 이해민 의원, 정책위의장엔 김준형 의원을 임명했다.
조 대표는 수락연설에서 “팬덤에 의존하는 정치하지 않겠다”며 “당원의 열정은 엔진이 되고, 국민의 목소리는 방향이다. 두 목소리가 따로 가지 않고, 함께 가는 정치를 하겠다”고 말했다. 또 “내란을 격퇴한 응원봉 혁명을 다원 민주주의로 구현하는 미래 정당이 되겠다”며 “국민 중심 큰 정치를 선언한다. 당원주권과 국민주권이 조화롭게 실현되는 정당으로 진화하겠다”고 했다.
조 대표 발등에 떨어진 불은 내년 6·3 지방선거다. 혁신당은 이르면 금주 중 지방선거기획단을 발족할 방침이다. 이날 연설에서 조 대표는 지방선거와 관련해 “시대적 과제를 위해서는 1%의 가능성만 있어도 끝까지 도전하겠다. 그래서 지방정치의 혁신을 위한 교두보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당 안팎의 전망은 밝지 않다. 조 대표가 정치활동을 재개한 지 3개월지 지났지만 당 지지율은 바닥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혁신당은 지난해 총선 비례대표 투표에서 24.45%를 얻었지만, 지난 18~20일 한국갤럽이 유권자 1000명을 상대로 벌인 여론조사에서 나타난 정당 지지율은 3%였다.
한 혁신당 관계자는 “개혁 쇄빙선 역할을 해왔는데 당의 존재 이유였던 윤석열 탄핵과 검찰 해체가 이미 현실화됐다”며 “정청래 민주당이 강성 일변도로 나서면서 내란전담재판부 등 사법개혁 이슈에서도 민주당과 차별화가 쉽지 않다”고 말했다. 한 혁신당 의원은 “당내 성비위 사건으로 진보 정당의 성평등 이슈에서 주도권을 잃은 것도 큰 타격”이라고 지적했다.
이날 조 대표는 검찰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다. ‘검찰’이란 단어는 “부동산 공화국의 근본적 처방을 위해 감사원, 헌법재판소, 대법원, 대검찰청을 지방 이전해야 한다”고 말할 때 한 번 등장한 게 전부였다.
대신 조 대표는 “국민의 삶에서 민생으로 응답해 국민의 하루를 책임지는 민생 개혁정당이 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가장 먼저 꺼낸 것이 주거권 보장이었다. 그는 “청년을 비롯한 모든 국민의 주거권 보장을 위해 총력을 다하겠다”며 “토지공개념을 입법화하고, 행정수도 이전을 실천하자. 보유세를 정상화하고 거래세는 완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토지주택은행 설립, 국민 리츠, 전세 사기 특별법 통과 등도 주장했다.
더불어민주당을 향한 쓴소리도 아끼지 않았다. 조 대표는 “공동선언문을 서랍 속에 방치한다면, 대국민 약속 파기이자, 개혁정당들에 대한 신뢰 파기”라고 말했다. 지난 대선 직전인 5월 9일 이재명 후보 지지를 전제로 양당이 합의한 대선 결선투표제, 국회의원 비례성 강화, 원내교섭단체 기준 완화 등을 이행하라고 촉구한 것이다. 개헌 얘기도 꺼냈다. 조 대표는 “혁신당은 제7공화국을 여는 쇄빙선이 되겠다”며 “여야 이견이 없는 의제부터 최소 개헌을 하자”고 주장했다.
최병천 신성장경제연구소장은 “소수 정당은 스타 정치인 중심 성향이 심할 수밖에 없다”며 “조 대표가 어떻게 변화하고, 어떤 메시지를 내느냐에 따라, 혁신당의 운명이 달려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만일 조 대표가 광역단체장에 출마한다면 지방선거에서의 혁신당 포지션은 크게 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익명을 원한 혁신당 의원은 “이제부터가 조 대표의 마지막 정치적 시험대”라며 “조 대표 스스로와 혁신당을 위해 민주당과는 다른 구체적 독자 노선을 설정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