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은 튀르키예 국빈방문을 앞두고 “방위산업 협력을 상호 신뢰에 기반해 계속 확대할 수 있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튀르키예 국영통신사 아나돌루 통신(AA)는 23일(현지시간) 이런 내용을 담은 이 대통령 서면 인터뷰를 보도했다.
이 대통령은 인터뷰에서 한국과 튀르키예 협력의 잠재력이 큰 분야로 방산을 꼽았다. 이 대통령은 방산 협력의 대표적 사례로 알타이 전차를 언급했다. 알타이 전차는 튀르키예가 설계·개발하고 한국 현대로템·두산이 기술 이전과 한국산 엔진 지원을 하면서 완성된 전차다. 올해부터 본격 양산이 시작됐다. 이 대통령은 “(이 사례는) 튀르키예와 한국이 방산에서 깊은 신뢰와 첨단 기술 역량을 갖추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우리 강점은 서로를 완벽하게 보완한다”며 “튀르키예는 무인항공시스템에서 세계적 리더이며, 한국은 전차, 포병, 해상 무기체계 분야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 차세대 방위 기술에서 협력을 확장할 수 있다고 믿는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원전 협력도 양국의 주요 협력 분야로 꼽았다. 이 대통령은 “한국 기업은 튀르키예 시노프 원전 프로젝트 참여를 위한 협의를 진행 중”이라며 “한국의 세계적 수준의 원자력 기술과 운전 안전 능력이 튀르키예 원자력 발전에 상당한 기여를 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튀르키예는 시노프 원전 프로젝트의 협상대상국으로 한국·중국·캐나다 등을 검토하고 있다.
이 대통령은 한국이 참여한 아랍에미리트(UAE) 원전 프로젝트의 성공을 언급하며 “한국 기업이 튀르키예 원전 사업에 참여하면, 사업을 ‘예정대로, 예산 내’ 진행시킬 최적 파트너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협력은 전문 인력 양성과 인프라 구축 등 광범위한 분야로 확대될 수 있다”며 “한국은 단순 원전 건설을 넘어서 전반적 원자력 생태계 강화에 초점을 맞춘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건설·인프라도 협력 잠재력이 큰 분야라고 봤다. 이 대통령은 “튀르키예 기업들은 풍부한 현장 경험, 뛰어난 시공 능력, 중동·아프리카·중앙아시아 전역에 걸친 넓은 네트워크를 강점으로 갖고 있다”며 “중동·아프리카·중앙아시아 등 제3국 시장을 함께 개척하며 수주 경쟁에서 중요한 우위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대통령은 “앞으로는 (튀르키예와) 협력 범위를 원전·바이오헬스·디지털 전환·신재생에너지·인공지능(AI) 등 미래 지향적 산업으로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튀르키예는 한국에 있어 전략적 동반자이자 유라시아 지역의 중요한 허브”라며 “한국은 피로 맺어진 ‘형제국 튀르키예’와의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계속 중시하고 강화해 나가겠다”고 했다.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참석차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를 방문 중인 이 대통령은 24일 튀르키예를 국빈방문한다.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하고 양국 협력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