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대의원제 폐지 NO" 친명 반발…친청래 vs 반청래 전면전? [與野 중도 포기 역주행]

중앙일보

2025.11.23 12:00 2025.11.23 12:40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글자 크기 조절
기사 공유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1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김성룡 기자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대의원제를 사실상 폐지하는 당헌·당규 개정을 밀어붙이면서 당내 이견이 확산하고 있다. 정 대표는 대의원과 권리당원 표의 가치를 똑같은 1표로 맞추는 ‘대의원·권리당원 1인 1표제’를 추진 중이다. 당초 ‘60:1 이상’이었던 대의원·권리당원 표의 가치는 이재명 대표 시절인 2023년 11월 ‘20:1 이하’로 한 차례 조정된 적이 있다.

정 대표는 23일 페이스북에 “1인 1표제는 논의할 만큼 논의했다.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당원 주권정당의 길”이라는 글을 올렸다. 당내 이견에 대해선 “1대 20 미만을 결정할 때도 많은 반대와 저항이 있었다. 이재명 대표 시절 원외 위원장들도 1인 1표제를 강력하게 요구했다”고 일축했다.

정 대표의 의지는 남은 일정에서도 드러난다. 정 대표는 지난 19~20일 실시한 당원투표의 투표율은 16.81%(찬성율 86.81%)에 그쳤지만 “90% 가까운 당원 뜻은 거스를 수 없는 대세”라며 지난 21일 당 최고위를 열어 당헌·당규 개정 착수 안건을 의결했다. 당 지도부는 “24일 당무위원회, 28일 중앙위원회를 거쳐 당헌·당규 개정 절차에 들어가겠다”(조승래 사무총장)고 예고했다.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1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김성룡 기자
그러나 일정이 확정되자 당내 이견은 커지고 있다. “정 대표가 내년 대표 연임을 겨냥한 작업을 하는 것”(수도권 재선의원)이라는 시각이 적지 않아서다. 정 대표는 8·2 전당대회에서 대의원(46.91%) 보다 권리당원(66.48%) 득표율이 월등히 높았다. 정 대표 본인이 ‘1인 1표제’ 도입의 최대 수혜자가 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당헌·당규 개정의 근거로 활용 중인 당원투표에 대해서도 “겨우 16% 참여하고, 80% 찬성으로 여론을 수렴한 것처럼 호도해도 되느냐”(최고위원)는 반발이 나왔다.

민주당 원내지도부 관계자는 23일 중앙일보에 “21일 최고위에서 ‘이렇게 급하게 추진할 일이 아니다’라는 여러 최고위원의 의견 개진이 있었는데도 소용이 없다”고 말했다.

친명계 원외 조직인 더민주혁신회의도 전날 “정청래 지도부의 행보에 대한 당원들의 우려가 점점 커지고 있다. 의견수렴 방식, 절차적 정당성, 타이밍 면에서 ‘이렇게 해야만 하나’라는 당원들의 자조 섞인 목소리가 봇물 터지듯 들려온다”는 공식 성명을 냈다.

이번 사태로 이재명 대통령 지지층과 정 대표 지지층의 입장 대립이 본격화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친명 초선인 윤종군 의원은 페이스북에 “전체 권리당원 중 TK(대구ㆍ경북)는 2%대이고, 영남 당원 전체도 10%가 안 된다. 1인1표제를 하면 영남의 대표성이 너무 과소 대표된다”며 반대 의견을 냈다. 이 대통령 지지층이 주로 모인 디시인사이드 ‘이재명은 합니다’ 갤러리에는 “대의제를 건드린 건 막가파식 날치기”라는 추진 반대 글이 줄을 잇고 있다.

반면에 정 대표와 가까운 한 의원은 “권리당원 권한 강화는 이재명 대표 때부터 당의 기본 방침이었는데 트집을 잡는 것”이라며 반발했다. 김어준씨가 운영하는 ‘딴지일보’ 게시판에도 “1인1표제 반대는 기득권들의 발악. 권리당원들이 정청래 지키자”는 옹호 글이 많았다.

24일 당무위와 28일 중앙위에서 당헌·당규 개정안이 통과될지를 두고도 엇갈린 전망이 나온다. 당원 투표 결과가 압도적인 만큼 의결을 자신하는 이들도 적지 않지만, “지역위원장과 당연직 위원장 등으로 구성된 중앙위는 상당히 훈련된 분들이다. 당원투표와 같이 가리라 장담하기 어렵다”(당 관계자)는 시각도 있다.



김나한([email protected])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