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5월 말~6월 초 모임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에게 무릎을 꿇은 것에 대해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이 "군이 불가능한 실태를 말씀드린 것"이라 주장했다.
24일 서울중앙지법 형사25부(재판장 지귀연)에서 열린 윤 전 대통령의 내란 우두머리 혐의 재판에 증인으로 출석한 여 전 사령관은 "현 상황을 설명해 드린 것일 뿐"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여 전 사령관은 지난 5월 중앙지역군사법원에서 열린 자신의 내란 혐의 재판에서 무릎을 꿇은 데 대해 "약주가 과해 돌발적으로 한 행동"이라고 말한 바 있다.
서울 종로구 삼청동 안가에서 열린 이 모임은 윤 전 대통령과 김용현 전 국방 장관, 여 전 사령관이 참석했다. 특검은 이 자리에서 여 전 사령관이 무릎을 꿇고 윤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를 말린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여 전 사령관은 "대공·간첩 수사의 어려움에 대해 말씀드렸고, 대통령께서 나라 걱정과 시국 걱정을 했다"며 "대통령께서 감정이 격해지셔서 헌법이 대통령에게 보장한 비상대권 조치도 언급하셨다"고 했다. 그러면서 "제가 속으로 '국군통수권자이신데 계엄에 대해서 어떤 훈련이 준비돼 있고, 이런 걸 모르신다'는 생각을 했다"고 말했다. 군에서 비상계엄 선포를 상정한 훈련을 하지 않기 때문에 준비가 돼 있지 않다는 점을 설명하려 했다는 뜻이다.
여 전 사령관은 "육군 30만명은 개전 초기엔 전방 지역에서 전투하느라 바쁘다"며 "사회 질서를 어떻게 군이 유지하겠느냐"고 말했다. 무릎을 꿇은 이유에 대해서는 "일개 사령관이 무례한 발언을 했다고 생각했다"고 했다.
다만 여 전 사령관은 "대통령께서 계엄을 한다, 안 한다 구체적으로 말씀하신 게 아니"라며 "국군통수권자이신데 계엄에 대한 군의 훈련 준비 상태를 전혀 모르시는 것 같았다는 말씀을 드린 것"이라고 했다.
검찰은 이날 재판에서 여 전 사령관 휴대전화에서 이재명 대통령,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등 유력 인사 14명의 이름이 담긴 메모 등을 복원해 공개했다. 검찰은 이 같은 메모가 계엄을 사전에 준비한 정황이 담긴 메모라고 설명했다. 여 전 사령관은 "조각난 메모를 취사선택해서 멋대로 스토리 라인을 만든 것"이라며 혐의를 부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