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밀어붙이는 ‘대의원·권리당원 1인 1표제’ 당헌·당규 개정안의 최종 처리가 당초 28일에서 일주일 연기됐다.
개정안은 24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당무위원회를 통과했지만, 반대·우려 의견이 속출하면서 마지막 관문인 중앙위원회 일정이 미뤄졌다.
조승래 사무총장은 이날 당무위 회의 후 브리핑에서 “1인 1표제 도입 등 당헌·당규 개정에 대해 대체로 동의가 됐으나 일부 우려가 있기 때문에 보완책을 더 논의하기 위해 중앙위를 28일에서 12월 5일로 연기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이어 “의견을 더 듣고 보완책을 구체화하자는 데 공감대가 형성됨에 따라 정 대표가 중앙위 일정 수정안을 직접 발의했다”고 설명했다.
이날 당무위에서는 1인 1표제 도입안과 추진 절차를 두고 격론이 오갔다. 당헌 개정이 충분한 숙의 없이 추진된다는 비판이 잇따랐고, 회의장 밖에선 고성도 들렸다.
이에 대해 조 사무총장은 “다른 의견이 있었던 것은 사실”이라며 “그런 것을 다 수용해서 논의 시간을 더 갖기로 한 것”이라고 했다.
대의원과 권리당원 표의 가치를 똑같은 1표로 맞추는 1인 1표제 당헌 개정안은 지난 19~20일 전 당원 투표에서 86.81% 찬성이 나왔으나, 투표율은 16.81%에 그쳤다. 정 대표는 이에 대해 “90% 가까운 당원 뜻은 거스를 수 없는 대세”라며 지난 21일 당 최고위를 열어 당헌·당규 개정 착수 안건을 의결했다.
그러나 일각의 반대 의견이 좀처럼 가라앉지 않는 상황이다.
이언주 최고위원은 이날 오전 최고위원회의에서 “원칙에 대한 찬반보다 절차의 정당성과 민주성 확보가 실제 논란의 핵심”이라며 이번 당헌·당규 개정 추진 과정을 공개적으로 문제 삼았다.
이 최고위원은 “중요 제도를 충분한 숙의 과정 없이 단 며칠 만에 밀어붙이기 식으로 하는 게 맞느냐”며 “대통령 순방 중 이렇게 이의가 많은 안건을 밀어붙여 당원들을 분열시킬 필요가 있는가”라고 비판했다. 이 최고위원은 정 대표가 앉은 자리에서 이 같은 비판 발언 직 후 곧장 회의장을 떠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