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이주노동자 더 확대말라…울산서 '광역형 비자' 확대반대 목소리

중앙일보

2025.11.23 23:07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글자 크기 조절
기사 공유
울산 동구 주민단체 '제5회 동구 살리기 주민대회 조직위원회'가 24일 울산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주노동자를 확대하는 '광역형 비자' 반대 입장을 밝히고 있다. 사진 울산시
HD현대중공업과 HD현대미포조선 등 대형 조선소가 몰려 있는 울산 동구에서 '울산 광역형 비자' 확대에 반대하는 주민 움직임이 본격화했다. 외국인 근로자 유입이 급증하면 내국인 근로자의 일자리와 임금이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가 주민들 사이에 나오면서다.

울산 광역형 비자는 해외에서 미리 기술 인력을 양성한 뒤 울산지역 조선업 현장에 2년여간 일하도록 하는 제도다. 울산시는 지난 5월 경남도와 함께 광역형 비자 시범사업 대상지로 선정됐고, 지난 8월엔 광역형 비자 확대를 위한 연구에도 착수한 상태다.

이와 관련해 울산 동구 주민단체 '제5회 동구 살리기 주민대회 조직위원회'는 24일 울산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반대 입장을 밝혔다. 조직위는 "동구에는 조선업 상시 고용 인원 30% 외국인 도입 허용에 따라 이미 7000여명의 이주노동자가 현대중공업 등에서 근무하고 있다"며 "그런데도 이 비율을 더 확대할 경우 최대 1만2500명까지 이주노동자로 채워지게 된다"고 주장했다. 이어 "대책 없는 외국인 대량 유입 정책은 주민들의 삶의 질과 지역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며 "원·하청 이중구조 개선과 숙련공 유출 방지가 인력난 해소의 핵심이며 외국인 비자 확대가 결코 해법이 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조직위는 "울산시가 추진하는 HD현대중공업 협력업체 외국인 고용 50% 목표의 광역형 비자 사업은 즉각 폐기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HD현대중공업에 근무하는 외국인 근로자들. 사진 HD현대중공업 *이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이에 조직위는 광역형 비자 확대에 반대하는 주민 6500명의 서명부를 울산시와 고용노동부에 전달했다.

반면 울산시는 조선업의 심각한 인력난을 해결하기 위해 해외 기술 인력 양성 사업을 확대하는 분위기다. 울산시는 오는 26일 베트남 근로자 49명이 첫 광역형 비자로 입국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시 관계자는 "연말과 내년 1월 사이 우즈베키스탄 19명, 태국 28명 등 광역형 비자를 받은 외국인 인력이 추가 입국한다"며 "내년까지 440여명의 광역형 비자 인력을 울산에 도입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지난 4월 법무부가 광역형 비자 시범사업 관련 브리핑을 하는 모습. 연합뉴스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 *
광역형 비자와 별도로 울산시는 우즈베키스탄과 협력한 '글로벌 기술 인재 양성사업'에서도 성과를 내고 있다. 지난 7월 전기·도장 등 조선소 핵심 직무를 익힌 우즈베키스탄 청년 97명이 첫 교육 과정을 마쳤고, 이들은 한국어·직장 예절·기초 법률 등 3개월간의 기본 교육 후 최근 울산 지역 조선업체에 배치됐다. 이 사업은 울산시가 교육 기반과 비자 발급을 담당하고 HD현대중공업이 기술 교육을 지원하며, 우즈베키스탄 정부가 인력 모집과 시설을 맡는 삼자 협력 모델이다. 울산시는 연말까지 우즈베키스탄에서 411명의 기능 인력을 추가 양성하고, 베트남·태국 등에서도 230명의 인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울산시가 해외에서 조선업 인력 확보에 나선 것은 증가하는 선박 수주량에 비해 국내 노동력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이다. 조선·해양산업 인적자원개발위원회(ISC)에 따르면 지난해 조선업종의 미충원율은 14.7%로, 전체 국내 산업 평균(8.3%)의 두 배 가까이 높았다.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는 국내 조선업계에 매년 1만2000명 안팎의 인력이 부족하며, 2027년에는 13만명이 더 필요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김윤호([email protected])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