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EN=이인환 기자] 손흥민의 고군분투에도 캐나다 기자가 질 떨어지는 조롱으로 논란을 야기했다.
LAFC는 22일(한국시간) 캐나다 밴쿠버 BC 플레이스에서 열린 2025 MLS컵 서부 컨퍼런스 4강전에서 밴쿠버 화이트캡스와 2-2로 비긴 뒤 승부차기에서 3-4로 패했다. 손흥민의 환상적인 멀티골은 기적에 가까웠지만, 팀 전체의 허약한 경기력은 끝내 버티지 못했다.
LAFC는 3-4-3 전형으로 나섰다. 손흥민을 최전방 중앙에 세우고 좌우에 부앙가와 오르다스를 배치한 공격적인 구성. 하지만 ‘종이 위’의 공격 전개는 전반 내내 현실과 정반대였다. 손흥민에게 향하던 전진 패스는 대부분 차단됐고, 중원에서 공이 끊기는 장면이 반복됐다. 손흥민은 등지고 공을 받을 시간조차 없을 만큼 고립됐다.
전반 39분, 가장 치명적인 장면이 터졌다. 밴쿠버 골키퍼 타카오카가 드롭볼 직후 길게 찔러준 패스 하나가 LAFC의 수비 라인을 통째로 무너뜨렸다. 사비가 요리스를 침착하게 제치며 마무리했고, 순식간에 분위기는 밴쿠버로 넘어갔다. 전반 추가시간에는 오른쪽 코너킥 상황에서 뮐러의 헤더와 라보르다의 재차 슈팅까지 허용하며 0-2로 끌려갔다. LAFC는 조직력과 집중력에서 완전히 밀렸다.
하지만 후반이 시작되자, 손흥민이 다시 살아났다. 그리고 혼자서 LAFC를 다시 세웠다. 후반 15분 델가도의 왼쪽 크로스를 모런이 머리로 떨궜고, 이어 손흥민이 재빠르게 연속 슈팅을 시도했다. 첫 슈팅은 막혔지만 라보르다가 제대로 걷어내지 못한 공을 손흥민은 정확하게 밀어 넣었다. 중심 흔들림 없는 마무리. 1-2. 경기 분위기는 순식간에 바뀌었다.
후반 추가시간, 이날의 하이라이트가 터졌다. 왼쪽 박스 부근에서 얻은 프리킥을 손흥민이 직접 처리했다. 이상적인 궤도로 골문 상단 구석을 향해 감겨 들어간 ‘손흥민표 왼발 프리킥’. 타카오카가 몸을 길게 뻗었지만, 공은 손끝조차 스치지 않고 골망을 흔들었다. MLS를 뒤흔든 완벽한 예술골이었다. LAFC는 이 골로 극적인 연장전에 진입했다.
이어 수적 우위까지 찾아왔다. 후반 추가시간 블랙먼이 경고 누적으로 퇴장됐고, 연장 후반에는 교체로 들어온 할부니마저 부상으로 나가며 밴쿠버는 9명이 됐다. LAFC는 11-9의 절대적 우위를 갖게 됐다. 그러나 추가 골은 나오지 않았다. 연장 추가시간, 부앙가의 결정적인 슈팅이 골대를 강타하며 모든 희망이 날아갔다.
결국 승부차기. LAFC의 첫 번째 키커는 손흥민이었다. 그러나 연장 후반부터 이어진 근육 경련이 그를 괴롭혔다. 킥 순간 중심을 잃었고, 공은 골문을 벗어났다. 두 골을 넣고 팀을 연장까지 끌고 간 에이스였지만, 잔인하게도 승부차기 실축의 주인공이 되고 말았다.
경기 후 손흥민은 동료들의 책임을 대신 짊어지는 멘트를 남겼다. 그는 “연장 후반부터 갑작스러운 경련이 와서 힘들었다. 승부차기 순간 다시 다리가 잡히면서 정상적인 킥을 하지 못했다. 결과적으로 내 책임이다”며 담담히 말했다. 이어 “하지만 우리 팀은 끝까지 포기하지 않았다. 새로운 동료들과 이 리그에서 뛸 수 있어 정말 영광이었다”고 동료들을 감쌌다.
손흥민은 총 5개의 슈팅 중 4개를 유효슈팅으로 기록하며 홀로 2골을 넣었다. LAFC 전체 유효슈팅 8개 중 절반이 손흥민의 발끝에서 나왔다. 반면 부앙가는 8개의 슈팅 중 단 2개만 유효슈팅으로 연결했고, 결정적인 순간 골대를 맞히며 팀을 구하지 못했다.
경기 직후, 캐나다 CBS스포츠 기자 벤 슈타이너는 손흥민을 향해 자신의 SNS를 통해 "손흥민, 알잖아? 그는 토트넘을 떠날 수 있지만, 토트넘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메시지를 남겼다. 이는 토트넘에서 우승과 인연이 없던 시절의 농담을 빗댄 표현이었다. 영국 해리 케인 역시 팀을 떠난 후 같은 이야기를 들었던 적 있다
하지만 손흥민은 이미 토트넘에서 트로피를 들고 이적한 선수다. 팬들은 "손흥민은 토트넘에서 유로파리그 우승을 거머쥐었다", "2골의 영웅을 조롱하고 나머지 10명은 아무 말도 없는 게 부끄럽다"며 언론과 SNS 댓글을 통해 강하게 반발했다. 손흥민의 커리어와 헌신, 무엇보다 트로피의 실적이 언론의 조롱을 무색케 했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
이적 첫 시즌 LAFC의 손흥민은 MLS를 평정했다. 데뷔 8경기에서 8골, 3도움으로 이미 토트넘 시절 리그 득점을 뛰어넘었고, 매경기 ‘월드클래스’임을 증명했다 . 그가 토트넘에서 마지막 시즌 창단 142년 만에 유럽 메이저 트로피를 들었던 순간 역시 여전히 명예의 계보에 남아 있다. 이번 캐나다 언론의 조롱도 사실, 손흥민의 커리어를 깎아내릴 수 없는 반응이었다는 것이 중론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