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은행에 이어 인터넷전문은행과 저축은행까지 예금 금리를 잇따라 인상하고 있다. 24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케이뱅크는 최근 ‘코드K 정기예금’의 1년 만기 최고 금리를 연 2.58%에서 2.86%로 올렸다. 카카오뱅크의 1년 만기 정기예금 상품 금리는 지난달 연 2.5%에서 2.85%로 올랐다. 토스뱅크도 이달 3·6개월 만기 정기예금 상품 금리를 0.1%포인트 인상해 연 2.5%대에 진입했다.
저축은행도 금리 인상 대열에 합류했다. 이날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전국 79개 저축은행의 1년 만기 정기예금 평균 금리는 이달 13~17일 2.6%대까지 떨어졌다가 이날 연 2.71%로 올랐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연말 고금리 특판 예금 중 만기가 돌아오는 데다 업권이 다 금리를 올리는 추세여서 고객 이탈을 막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이에 앞서 시중 은행도 고금리 상품을 앞다퉈 내놨다. 이날 기준 5대 시중 은행(KB·신한·우리·하나·NH농협)의 정기예금(1년 만기) 최고 금리는 연 2.8~3.1% 수준이다.
이는 우선 시장금리가 오르면서다. 이날 10년물 국채 금리는 연 3.28%로 지난 20일 기록한 올해 최고치(3.325%)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은행권 관계자는 “시장금리 상승으로 은행채 발행 비용도 오르면서 상대적으로 비용이 덜 드는 예금을 대출 자금으로 활용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증권사가 원금을 지급하면서도 예탁금으로 투자해 연 5~8% 수익률을 분배하는 종합투자계좌(IMA)가 다음 달 출시될 예정이다. 이른바 ‘머니무브’를 우려해 고객 유치에 더욱 공을 들이고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