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내부 선거에서 대의원·권리당원의 표 가치 차이를 없앤 ‘1인 1표제’ 당헌 개정안의 최종 처리가 일주일 연기됐다. 민주당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당무위원회를 열고 ‘1인 1표제’ 당헌 개정안을 의결하면서, 마지막 절차인 중앙위원회는 이달 28일에서 다음 달 5일로 미뤘다. 조승래 사무총장은 “1인 1표제 도입 등과 관련해 일부 우려가 있어 보완을 논의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비공개 당무위에서는 회의장 바깥으로 고성이 흘러나오는 등 격론이 오갔다. 권리당원이 집중된 호남 여론 과대표 우려 등으로 선출직 최고위원 상당수가 반대 의견을 냈다. “보완책이 마련되지 않은 상태에서 당무위 의결부터 해선 안 된다. 의결하고 나서 보완책을 마련하면 힘이 빠진다”(황명선 최고위원), “수도권도 문제다. 당에 헌신한 원로급 대의원을 다독일 만한 대안이 있어야 한다”(한준호 최고위원)는 반대 의견이 나왔다.
절차 문제도 제기됐다. 이언주 최고위원은 “1인 1표제를 추진하는 과정이 졸속”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조승래 사무총장이 “이미 다 설명하고 공지했는데 뭐가 졸속이냐”고 맞섰다. 그러자 이 최고위원이 “계속 밀어붙이는 이유가 뭐냐”고 재차 반박하는 등 언쟁이 이어졌다고 한다. 이 최고위원은 당무위에 앞서 열린 당 최고위에서도 “대통령 순방 중 이렇게 이의가 많은 안건을 밀어붙여 당원들을 분열시킬 필요가 있는가”라고 정청래 대표를 비판한 뒤 회의장을 떠났다.
그러자 정 대표는 “보완책 마련을 위해 숙의할 시간을 갖자”며 중앙위 개최를 일주일 미루자고 했다. 정 대표는 “일주일 연기되는 동안에 지혜를 모아서 보완책을 마련하고 당원주권 시대를 활짝 열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박수현 수석대변인은 당무위 종료 후 기자들과 만나 “당무위원 48명 중 2~3명만 반대 의견을 냈다. 제한적 부분에 대해 보완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뜻이었다”고 설명했다.
1인 1표제는 “당대표와 최고위원 선출 등에서 대의원과 권리당원 표의 반영 비율을 20대1 미만으로 한다”는 당헌 조항(25조 1항)을 삭제해 권리당원·대의원의 표를 등가로 취급하는 게 핵심이다. 사실상 대의원제가 무력화되는 개정안인 만큼, 당내 이견이 커지고 있다. 민주당의 한 재선 의원은 “1인 1표제가 사실상 대의원제 폐지를 뜻하다 보니 지역 대의원들의 반발이 거세다. ‘청래당을 떠나겠다’는 문자도 온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