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의 창업자 자오창펑(예명 CZ)이 하마스와 헤즈볼라 등 친이란 무장단체의 자금 조달을 도왔다는 혐의로 다시 고발됐다. 그는 하마스 테러와 관련해 뉴욕에서도 피소된 상태다.
24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하마스의 10·7 공격으로 가족을 잃거나 피해를 본 미국인 유족들은 이날 미 연방법원에 제출한 고소장에서 자오와 바이낸스가 테러 조직에 고의로 실질적 지원을 제공해 자금 흐름을 은폐하고 암호화폐 지갑으로 송금이 이뤄지도록 방조했다고 주장했다. 원고 측은 블록체인 분석 결과, 지난달 이후 하마스, 이란 혁명수비대(IRGC), 헤즈볼라, 팔레스타인 이슬람 지하드(PIJ) 등과 연계된 지갑으로 5000만달러(약 737억 원) 이상의 자금이 바이낸스를 통해 이동했다고 주장했다.
또 바이낸스가 자체 운영 지갑을 통해 하마스 공격 전 3억달러(약 4420억 원) 이상, 공격 후 1억1500만달러(약 1694억 원) 이상을 특정 지갑으로 송금했다는 의혹도 제기했다. 일부 계정은 여전히 활성화된 상태라는 게 원고 측 입장이다.
바이낸스는 이날 성명에서 소송에 대한 언급을 피하면서도 국제 제재법을 준수하고 있으며 미국 재무부 산하 금융범죄수사망(FinCEN)과 외국자산통제국(OFAC)이 “하마스의 암호화폐 사용 비중은 작다”고 언급한 사실을 강조했다.
자오에 대한 의혹은 그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사면된 지 한 달 만에 불거졌다. 그는 지난해 자금세탁 방지 의무 불이행을 인정해 4개월 형을 선고받았으나 올해 10월 트럼프에게 사면됐다. 그러나 사면 직전 바이낸스가 트럼프 일가와 연계된 스테이블코인을 사용하는 UAE 펀드로부터 20억달러(약 2조 9448억 원) 투자를 유치한 사실이 알려지며 이해충돌 논란이 불거졌다. 실제 트럼프 일가는 트럼프의 친암호화폐 정책 속에서 가상자산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왔다. 다만 최근 암호화폐 시장 급락에 직격탄을 맞으면서 지난 9월 대비 10월 일가의 자산은 약 10억달러(약 1조5000억원) 감소해 67억 달러(약 9조9106억 원)로 집계됐다고 블룸버그통신이 전했다.
바이낸스의 불법 자금 유입 정황은 꾸준히 제기돼왔다. 뉴욕타임스(NYT)와 국제탐사보도언론인협회(ICIJ), 36개 글로벌 언론사의 조사에 따르면 지난 2년간 바이낸스를 포함한 주요 거래소에 최소 280억달러(약 41조원)의 불법 자금이 유입된 정황이 확인됐다. 여기엔 북한 해킹 조직(라자루스)과 동남아 범죄조직, 글로벌 사기 네트워크 자금이 포함됐다. 바이낸스는 미국 정부에 43억달러(약 6조 3391억 원) 벌금을 낸 이후에도 캄보디아 범죄조직(후이원)으로부터 4억달러(약 5897억 원), 북한 해커들이 사용한 플랫폼을 통한 9억달러(약 1조 3268억 원) 상당의 이더리움 유입이 계속된 것으로 파악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