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문태준의 마음 읽기] 온전히 단순하고 소박하게

중앙일보

2025.11.25 07:14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글자 크기 조절
기사 공유
문태준 시인
날씨가 꽤 차가워졌다. 얼마 전 한라산에는 눈이 내렸다. 절기가 입동을 지나 소설을 거쳐서 대설을 향해가고 있으니 첫눈 소식이 낯설지는 않다. 제주의 농가에서는 노지의 감귤을 따는 일에 바쁘다. 내가 사는 동네에도 귤밭이 몇 군데 있다. 귤을 딴 후 귤 창고에서 귤을 가려내는, 선과(選果)하는 풍경을 볼 수 있다. 일본의 한 시인은 “귤을 깐다/ 손톱 끝이 노란색/ 겨울나기여”라는 하이쿠를 썼는데, 지금의 때야말로 이 하이쿠의 내용에 가장 크게 공감할 때가 아닐까 한다. 내가 아는 지인은 귤을 하도 많이 까먹어서 손바닥이며 손가락이며 손톱에 감귤의 물이 다 들었다며 내게 손을 들어 보여줘서 서로 크게 웃은 적이 있었다. 올해에도 내 집 현관 앞에는 한 상자의 귤이 놓여 있었다. 아내의 친척 집에서 갓 딴 귤을 놓고 갔다. 한동안 귤을 까서 먹느라 내 손도 노란색으로 감귤의 물이 들 것이다.

산승 거처에 걸린 편액 문구
얼음장의 시간 다가오지만
얼싸안는 온기는 겨울의 선물

김지윤 기자
멀구슬나무에서 떨어진 나뭇잎을 빗자루로 쓸거나 저만치에 있는 감나무의 꼭대기에 빨갛게 익은 감의 개수가 줄고 줄어 이제 단 몇 개만 남아 있는 것을 툇마루에 앉아 바라보는 시간은 조용하고 평화롭다. 아마도 본격적인 겨울이 시작되기 전에, 짧게 수일 동안만 즐길 수 있는 고요한 여유가 아닐까 한다. 어제는 석류나무에서 껍질이 쩍 갈라진 석류를 하나 거두어들였다. 얻어다 심은 석류나무가 매달고 있던 최초의 석류였다. 바라보고 있노라니 한 알의 석류는 내게 가을의 끝을 알리고 있는 것만 같았다.

요즘 시간이 날 때마다 찾아서 보는 영상이 있다. 오지의 겨울 풍경과 산에 사는 사람들의 겨울나기와 겨울 산사의 일과를 기록한 영상이 그것이다. 나는 눈에 덮인 산등성이가 끝없이 이어지는 장면을 넋 놓고 본다. 눈이 종일 푹푹 내리는 산골의 집에 살고 있는 사람의 일상을 또 넋 놓고 본다. 산골의 집이 오들오들 떨고 있다. 모든 것이 고드름처럼 얼었는데도 산골에 사는 사람은 얼음을 깨며 겨울에는 일 않고 논다고 말한다. 산골 사람은 눈길을 걸어가려고 설피를 만들고, 콩으로 메주를 쑤고, 겨울 동안에 땔 장작을 팬다. 산골 사람은 서늘한 곳에 감자와 무 등을 보관한다. 그리고 나는 겨울 산사의 새벽 예불 장면을 보기도 한다. 겨울에 절에서는 무엇으로 공양을 하시나 보기도 한다.

꽤 많은 영상을 보았고 개중에 가장 인상적이었던 장면은 한 스님이 거처하는 산방(山房)의 부엌 한쪽에 걸려있던 문장이었다. 나무판자에 새겨서 쓴 양관(良寬) 스님의 시구였다. 휴대전화 카메라로 영상을 재빠르게 찍은 것을 살펴보니 시구는 이러했다. “자루엔 쌀 석 되/ 화롯가엔 땔나무 한 단/ 밤비 부슬부슬 내리는 초막에서/ 두 다리 한가로이 뻗고 있네” 산골 산방에 거처하는 스님은 처마 밑에 ‘정검(靜儉)’이라고 쓴 편액도 걸었는데, 고요하고도 단순하게 그리고 소박하게 살자는 뜻이니 이 편액도 양관 스님의 시구와 대동소이한 것이었다. 산방의 스님도 겨울에 쓸 땔나무를 장만해 한가득 쌓아두었는데 특이하게도 한쪽에 따로 장작을 쌓아둔 것이 눈에 띄었고, 그것들은 스님이 세연(世緣)이 다해 세상을 떠나게 되면 자신을 다비할 장작들이라고 했다. “죽은 사람이 뒷사람에게 빚을 져선 안 되지요”라고도 했다.

산방 스님의 영상을 본 후로 정검이라는 말이 마음에 들었다. 그리고 이번 겨울에 비록 온전히 고요하고도 단순하게 그리고 소박하게 살지는 못하더라도 조금은 그것과 엇비슷하게 혹은 때때로 그것처럼 살자는 생각을 갖게 되었다. 그런데 가만히 되짚어보면 산에 사는 사람들의 겨울 살림이 공통적으로 그렇기도 했다.

시인 유자효 선생이 최근에 펴낸 시집에는 ‘겨울 행(行)’이라는 제목의 시가 실려 있다. 나는 이 시를 읽으면서 본격적인 겨울을 앞두고 또 한 번 깊은 생각에 잠겼다. 선생은 이렇게 적었다. “겨울을 사랑한다/ 살을 에는 고통/ 얼음장 같은 외면의 진실을/ 그 겨울의 포옹을 사랑한다/ 사람을 끌어모으는 냉기/ 그래서 스스로 찾아와/ 얼싸안는 힘/ 늙음을 사랑하듯이/ 처음 보는 세상, 시간들/ 끝없는 미완(未完)에/ 가슴 설렘을 사랑한다” 이 시에서 노래한 것처럼 겨울은 얼음장과 냉기의 시간이다. 인생에 견주면 겨울의 시간은 늙음의 시간이기도 하다. 하지만 살갗을 에는 듯한 겨울의 고통은 그리운 사람을 찾게 하고, 얼싸안도록 하고, 늙어 가는 것을 겸허하게 받아들이게 한다. 나는 “얼싸안는 힘”이라는 시구가 특히 마음에 닿았고, 이것이야말로 겨울이 주는 따뜻한 선물일 것이라고 생각했다.

아직은 떠나가는 가을의 뒷모습을 흐릿하게 볼 수 있지만, 겨울은 눈보라와 얼음덩어리를 싣고서 저기서 오고 있다. 겨울의 일과 겨울을 살아갈 사람이 지녀야 할 마음에 대해 생각해보게 된다.

문태준 시인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