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경호 의원의 구속 여부가 12·3 비상계엄 사태 1주년 대응을 고심하는 국민의힘의 최대 변수로 떠올랐다. 추 의원에 대한 체포동의안이 27일 본회의에서 가결되면, 주말 등을 제외하고 다음 달 2일 영장실질심사가 이뤄져 3일 새벽에 구속 여부가 결정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정치권에선 “추 의원 구속 여부는 국민의힘이 내란 정당 프레임을 벗느냐 마느냐의 갈림길”이란 말이 나온다.
이 때문에 장동혁 대표를 비롯한 지도부도 영장 심사 결과에 촉각을 기울이고 있다. 당 관계자는 “장 대표가 1주년 당일 새벽까지도 메시지를 다듬을 것으로 안다. 추 의원의 구속 여부는 메시지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24일 장 대표와 일부 의원이 함께한 식사 자리에서도 추 의원 구속 여부에 따른 파장과 대응책에 대한 이야기가 오갔다고 한다.
그만큼 추 의원의 구속 여부는 국민의힘의 명운을 가를 기점이다. 김철현 경일대 특임교수는 “2023년 당시 더불어민주당 대표였던 이재명 대통령이 백현동 개발사업 특혜와 쌍방울 대북 송금 의혹 등으로 구속 심사를 받고 영장이 기각됐을 때도 민주당은 지옥과 천당을 오갔고, 지금 국민의힘도 같은 처지”라고 말했다.
당시 이 대통령은 단식까지 벌였지만 9월 21일 체포동의안이 본회의 문턱을 넘었고, 27일 새벽 구속영장이 기각됐다. 김 교수는 “코너에 몰렸던 이 대통령은 영장 기각으로 정치적 무죄를 선고받은 셈이 됐고, 재기의 발판을 마련했다. 추 의원 구속 여부도 비슷하다”고 전망했다.
만약 영장이 기각되면 국민의힘은 정부·여당에 대한 강공에 올인할 가능성이 크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민주당이 내란몰이를 하고, 특검이 무리한 수사로 이를 뒷받침하던 구도가 한 방에 깨지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경우 국민의힘은 계엄 사과보다는 정부·여당에 대한 반격에 힘을 실을 전망이다.
반대로 영장 발부 시엔 국민의힘의 선택지는 당의 생존에 초점을 맞춘 철야농성 등 항전으로 좁혀진다. 민주당의 위헌정당 해산 압박도 한층 거세질 가능성이 크다. 경북 지역 의원은 “만약 추 의원이 구속되면 그다음 칼날은 계엄 당시 당 지도부 등에게 차례로 들이닥칠 것이다. 그러면 우리 당의 다음 스텝도 계엄 1년이 아니라 생존에 맞춰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현우 서강대 교수는 “결국 추 의원이 구속되든, 아니든 여야 갈등은 격화되고, 국민의힘이 지도부가 계엄 사과에 방점을 찍을 가능성은 더 작아진다”고 관측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