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국민의 기업] 투명하게 납품업체 선정, 건설 현장 안전 활동도 강화

중앙일보

2025.11.25 12:31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글자 크기 조절
기사 공유
한국자산관리공사

지난 10월 ‘창원 강소연구개발특구 기업입주공간 개발사업’ 건설 현장에서 오장석 캠코 공공개발부문 총괄이사(오른쪽)가 특별 안전점검을 했다. [사진 캠코]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는 1997년 기획재정부로부터 국유 일반재산에 대한 관리 업무를 위탁받은 이래, 축적해 온 자산관리 전문성과 노하우를 기반으로 전국의 다양한 국·공유재산 개발사업을 추진하며 공공자산의 가치를 높이고 있다.

전국 97개 국·공유 건설 사업장을 관리하는 캠코는 관급자재 선정 과정에서 과도한 경쟁으로 발생하는 품질 저하, 입찰 절차의 불투명성 등의 문제를 개선하고자 지난해 7월 새로운 관급자재 선정 시스템인 ‘관급자재피커’를 도입했다. 관급자재피커는 기존에 현장에서 사용하던 ‘번호 뽑기’ 방식 대신 ‘디지털 전산 추첨’ 방식으로 납품업체를 선정하는 시스템이다.

또한 올해 9월부터는 납품업체가 ‘관급자재 기술제안서’ 등 관련 서류를 온라인으로 직접 제출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개선했다. 나아가 연내 ‘알림톡 문자전송 시스템’을 도입해 정보 부족으로 입찰 참여에 어려움을 겪던 중소기업에게 입찰 정보를 사전에 제공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입찰 편중화를 예방하고 공정한 경쟁을 유도해 중소기업 판로 개척에도 기여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종사자의 안전과 보건 확보를 위해 관급자재 선정 시 산업재해 예방 조치 능력과 관련 기술 등을 평가 항목에 반영할 예정이다.

캠코는 정부 정책에 발맞춰 건설 현장의 중대재해 예방을 위한 안전 활동에도 나서고 있다. ‘안전’을 최우선 경영 방침으로 삼고, 올해에만 총 7차례에 걸쳐 경영진 주도의 건설 현장 특별 안전점검을 하는 등 선도적인 사고 예방 활동을 펼치고 있다. 경영진이 직접 현장을 방문해 근로자와 협력사 관계자의 애로사항을 듣고 위험 요소를 지도·점검하며, 건설 사업장의 중대재해 요소를 원천 차단하기 위해 전사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안전관리 고도화를 위해 ▶찾아가는 안전 교육 ▶재해 발생 사업장 특별 안전 교육 ▶안전 일터 조성의 날 운영 등을 통해 사고 발생 요인을 선제적으로 발굴하고 제거하며 안전 경영을 실천하고 있다.

오장석 캠코 공공개발부문 총괄이사는 “캠코는 건설 사업 현장의 안전은 물론, 국민의 생명과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시설물 안전까지 고려한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강화해 왔다”며 “앞으로도 신뢰받는 공공 디벨로퍼로서 안전에 대한 꾸준한 관심과 예방 활동을 통해 산업재해 예방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캠코는 최근 정부의 주택공급 정책에 부응해 수도권주택정책사업단 태스크포스(TF)를 신속히 구성하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도록 공공개발 사업에 속도감을 더하는 등 국민주권정부의 핵심 파트너이자 서민주거 안정에 기여하는 중추적 기관으로 도약하고 있다.



이준혁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